대개 꿈은 깨어나서 생각이 나지 않거나 깨어난 순간 잠시 기억에 머물다가 사라지곤 했다. 그런데 이번 꿈은 달랐다. 잠에서 빠져나왔는데도 자꾸 나를 당겼다. 마음을 추스르고 아침 을 먹는데 또 떠올랐다. 가방을 둘러메고 도서관에 갈 때도 꿈은 나와 동행했다. 그리고 책을 읽는 도중에도 자꾸 머릿속에 맴돌았다. 책을 덮고 창밖을 본다. 구름이 무심히 흐르며 또 꿈을 데려온다.
꿈속에서 엄마와 여행을 갔다. 남미 어딘가 섬이었는데, 육지와 작은 길로 연결되어 있었다. 우리는 섬에 가기 위해 그 길로 접어들었다. 그때 아기 고래가 멀리서 얼굴 앞까지 다가왔다가 사라졌다. 이어 커다란 고래가 또 코앞까지 달려들다 멀어졌다. 이내 파도가 밀려와서 삼킬 듯 우리를 바라보다 부서지기를 반복했다. 두려움과 설렘을 안고 섬으로 가니 작고 아담한 카페가 보였다. 카페 문을 열고 들어갔다. 의자에 앉으려다 깜짝 놀라 일어났다. 내 시집이 이국의 낯선 카페 의자에 놓여있었다. 한참 책을 보다 카페 주인에게 새로 나온 책을 주려고 가방을 뒤졌다. 분명 가방에 몇 권 넣었는데, 보이질 않았다. 주인에게 다음에 올 땐 꼭 가져오겠다는 약속을 하며 의자에 앉은 엄마를 돌아보다 잠이 깨었다. 잠에서 깨어 수화기만 만지작거렸다. 엄마에게 전화하고 싶은데, 엄마는 받을 수가 없다. 인공호흡기와 소변줄을 달고 싸늘하게 식어가고 있는 엄마, 그동안 나와 세상을 이어주던 연줄이었던 엄마, 난 아직 줄을 끊을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엄마는 자꾸 나를 밀어내고 있다.
이눔아, 세상 그리 만만헌 거 아니다. 연자새에 달려서 내 눈 앞이 있을 때가 그나마 젤루다 안전허지 않겄냐. 니 멋대로 이 연줄 매정하게 끊어내고 칠렐레팔렐레 바람 따라 길 떠나믄 니 앞길 꽃향기만 실려올 줄 안다마는, 첨이사 좋겄지. 자유롭게 떠댕김서 새 하늘 새 땅이라고 눈도 돌아가겄지만 그거 얼매 못 간다. 지금껏 널 띄웠던 바로 그 바람놈이 아무런 설명 없이 니 손을 놔 버리믄 너는 하릴없이 진창에 박히는 겨. 허니 더는 욕심일랑 내덜말고 이어진 연줄만큼이 분복인 줄 알어라 잉. 고만큼이 너한티 허락된 하늘잉께.
ㅡ이행숙 <연 >일부, 계간 《시조미학》 (2024,겨울호)
엄마도 저 시의 어머니처럼 나를 세상에 내보내면서 걱정했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내가 자유롭게 날기를 원했을 것이다. 엄마는 늘 내게 넓은 세상으로 가라고 하셨다. 멀리멀리 날아다니며 보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 다하라고 노래하셨다. 어쩌면 그것은 엄마가 하지 못한 인생의 꿈을 나에게 투영시켜서 한 말일 것이다. 엄마는 일평생 7남매를 낳고 자식들 뒷바라지하느라 맘 놓고 여행 한 번 못 가셨다. 얼마 전 친정에 갔을 때 내 손을 잡고 내 눈을 보며 또 말씀하셨다.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다녀야 한다. 살아보니 길고도 짧은 게 인생이더라. 아직도 마음은 십 대인데 언제 내가 이렇게 나이가 들었는지 모르겠다." 그동안 내가 자유롭게 날 수 있었던 것도 엄마가 보이지 않는 연줄로 내 한쪽 끝을 든든하게 잡고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을 것이다. 귓가에 엄마 목소리가 연자새의 연줄처럼 가득 감겨 오는데, 엄마는 기어코 연줄을 놓으시려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