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 가결과 통보를 받은 도내 대학들은 희비가 엇갈렸다.
건국대(글로컬)는 재정지원제한대학 해제 통보를 받아 기사회생했고, 꽃동네대와 영동대, 극동대, 충북도립대도 일부 해제 통보를 각각 받아 구사일생으로 살아났다.
반대로 청주대는 '제한'이라는 최악의 처방을 받아 퇴출위기에 놓였다.
3년 연속 부실대학이라는 오명을 쓰게 된 청주대는 오는 9월 수시모집에서 상당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벗어나지 못한 D·E등급 대학들은 각종 제한도 받는다.
지난해 기준으로 D등급은 △정부재정지원사업(신규·계속) 참여 제한 △국가장학금Ⅱ 유형 제한 △학자금 대출(일반·든든) 50% 제한 등의 조치가, E등급 대학에 대해서는 △정부재정지원사업 전면 제한 △국가장학금Ⅰ유형 신·편입생 지원 제한 △국가장학금Ⅱ 유형 신·편입생 지원제한 △학자금 대출(일반·든든) 전면 제한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지난해 등급별 정원감축 비율은 △A등급 자율감축 △B등급 4%(4년제 대학), 3%(전문대학) △C등급 7%(4년제 대학), 5%(전문대학) △D등급 10%(4년제 대학), 7%(전문대학) △E등급 15%(4년제 대학), 10%(전문대학)다.
그동안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D·E등급 대학(총 66개교)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해 왔다.
도내 한 대학관계자는 "청주대가 3년 연속 부실대학으로 지정된 것에 대해 모두 놀라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