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로부터 대학구조개혁평가 하위 등급인 D등급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든 황신모 총장이 25일 가집계 발표 당일 담화문을 통해 책임 전가를 시작했다.
황 총장은 "총장 취임 후 등록금 4% 인하 등 많은 노력을 했지만, 역부족이었다"며 "개인 단체들(범비대위 구성 단체) 간의 입장 차이와 상호 견제 등으로 합의가 번복·무산되는 갈등이 평가에 적지 않게 작용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고 전가했다. 그러나 지난 6월 교육부는 평가지표에 학내분규 사항은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청주대는 이의신청 기간 중 이의신청을 할 예정이지만, 최종 결과마저 D등급이 나올 경우 대비책도 공개했다.
청주대는 D등급 대학 불이익인 국가장학금 Ⅱ유형 제한을 적립금 등을 사용할 예정이며, 학자금 대출 제한은 주거래은행 등을 통해 협조를 얻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정부재정지원사업도 신청은 가능하기에 선정되면 적립금을 사업비로 활용할 생각이다. 2013년부터 2018학년도까지 입학정원 10% 감축은 매년 80여명씩 줄여왔기에 큰 부담은 없다.
대비책에도 범비대위 구성원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범비대위는 26일 성명을 발표해 대학 측의 무능함을 꼬집었다.
이들은 "무능하게 청주대를 망친 김윤배 전 총장의 꼭두각시들을 막지 못했다"며 "청주대 학생들과 학부모들, 동문 그리고 지역사회에 죄송하다"고 입을 모았다.
범비대위는 "청주대의 2년 연속 부실대학은 탐욕적인 대학 운영에서 비롯됐음을 숨기고 책임만 전가하려는 총장 등의 행태에 어처구니가 없다"며 "C등급을 받을 수 있다고 큰소리친 보직교수들은 김윤배 전 총장의 꼭두각시들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살아남기 위해 하루빨리 김 전 총장의 '독재'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대학발전의 동력인 학생 수가 줄어들면 다시는 늘릴 수 없음을 잊지 마라"고 덧붙였다.
박명원 총학생회장은 "대학 측이 내놓은 대책들이 허술하기 그지없다"며 "학자금대출의 금리, 교비회계 사용문제 등은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어 "2년 연속 부실대학이기 때문에 내년에 입학할 신입생뿐만 아니라 올해 입학한 신입생들도 불이익을 받고 있다"며 "추산했을 때 불이익을 메꾸기 위해 내년에 사용할 금액은 98억원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불이익으로 인해 사용되는 금액이 학생들의 등록금인 교비회계에서 지출된다면 각오하라"며 "대학 운영을 망친 이들이 학생들을 위해 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주대가 D등급으로 최종 확정되면 2016년 정부재정지원사업 제한, 국가장학급 Ⅱ유형 미지급, 학자금 대출 일반상환 50% 제한 등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
/ 강준식기자 good1200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