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청주] 청주대 사범대학에 불어닥친 구조조정 칼바람에 책임론이 일고 있다.
학생들을 중심으로 정부 평가에서 낙제점을 받게 한 주역인 총장과 보직교수, 교직원 등은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으면서 학생의 희생만 강요한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는다.
17일 청주대학교 사범대 학생회에 따르면 대학 측은 사범대 정원 감축 방안으로 체육교육과와 음악교육과 2개 학과를 일반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청주대는 교육부의 '2015년 교원양성기관 평가'에서 D등급을 받아 사범대 정원 50%를 감축해야 한다.
이 대학은 국어·수학·음악·체육 4개 교육과 중 체육·음악 2개 학과를 일반계로 전환하는 쪽으로 정원을 감축할 방침이다.
문제는 청주대가 이번 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은 원인이 학생들의 문제 때문이 아니라는 점이다.
폐과를 앞둔 체육·음악교육과는 교원양성기관 22개 평가 항목 중 13개에서 최하위 점수를 기록했다.
두 학과는 이 중 '발전계획및추진실적(30점)'은 6점, '현장역량중심교육과정운영계획및실적(40점)'은 7.5점을 각각 받았다.
이밖에 '학생상담 및 진로지도활동실적', '강의만족도', '시간강사의 강사료 수준' 또한 점수가 형편없었다.
교육학 박사 과정 수료 교수만 채용하면 자연히 점수를 받는 '교과교육과목 전임교원확보율(50점)'은 각각 0점과 10점으로 대학 운영을 얼마나 부실하게 했는지 드러났다.
낙제 평가의 원인은 대학의 부실운영이 크게 작용했지만, 책임은 '폐과 조치' 등 학생들에게 돌아갔다.
사범대 총학생회 관계자는 "정부 평가를 망친 것을 왜 학생들이 책임져야 하느냐. 대학 측도 그 책임을 져야 한다"며 "희생만 강요한 대학에서 장학금 등 확실한 지원을 약속하지 않으면 실력행사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2개 교육과의 일반계 전환이 구성원 반발을 최소화기 위한 '꼼수'라는 평가도 있다.
음악·체육교육과 교수들을 일반계 학과 교수로 전향시킨다면 장기적으로 해당 학과도 낙제를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학령인구 감소 상황에서 교육과를 일반계로 전환하면 신입생 유치는 더 힘들어지고, 학과 운영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내부 구성원 조차 이번 사범대 구조조정을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 내부 반발만 최소화하려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인정했다.
이 대학 관계자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교육과를 폐과한 뒤 안정적으로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대학은 청주대의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성홍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