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충주] 교육부 대학구조개혁 1단계 평가 가집계 결과에서 충주지역 종합대학 2곳이 모두 2단계 평가 대상(D·E등급) 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에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오는8월 최종평가에서도 같은 등급에 포함된다면 정원 감축 등 강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학생수 감축으로인한 충주지역 경제에도 큰 타격이 될 전망이다.
9일 한국교통대와 건국대 글로컬캠퍼스에 따르면 이들 대학은 지난 주 교육부가 선정한 전국 30여 개 '2단계 평가 대상(D·E등급) '대학에 포함됐다.
교육부는 1차 평가결과 상위그룹은 A~C등급으로, 하위그룹은 D~E 등급으로 분류해 2단계 평가를 받도록 했으며 그 결과에 따라 D~E 등급으로 분류하되 하위그룹의 10%는 '안정권'인 C등급으로 상향 조정해 8월에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교육부가 하위 20%인 전국 30여 개 대학을 2단계 평가대상으로 분류한 점을 고려하면 두 대학의 결과는 참담한 수준이다.
무엇보다 1차 결과가 그대로 이어진다면 내년부터 교육부 재정지원사업 참여가 제한되고,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이 일부 제한돼 학생들에게 막대한 피해가 돌아오게 된다.
또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부 구조조정에 다른 대학의 흡수·통합 '타겟'으로 몰릴 수도 있어 자칫 충주지역 대학들이 존폐위기로까지 몰릴 수 있다.
이에따라 지역 대학들은 비상상황에 돌입했다.
건국대 글로컬캠퍼스는 9일 긴급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이의신청 여부를 검토하는 한편 재정, 학사관리 등 2단계 평가에 '올인'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교통대도 9일 전 직원과 교수가 참여하는 전교 교직원 회의를 긴급 소집, 향후 대응방안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다.
교통대의 한 교수는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가 대학의 존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이 같은 결과가 확정되면) 건국대는 본교로부터 강도 높은 구조조정 압력을 받을 것이고, 교통대는 충북대 등과 통합론까지 거론될 것이 뻔하다. 모두 충주지역에는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충주 / 김주철기자 kimjc5611@hanmail.net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