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청주대와 영동대는 2년연속 지정돼 이번에도 지정이 될 경우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실대학에 지정됐던 A대학의 경우 올해 신입생 모집에서 심각한 후유증을 맞기도 했다.
도내 하위등급을 받은 대학들은 지난달에 한국교육개발원의 컨설팅에 따른 이행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해 제출했다.
교육부는 서면평가와 이달 초 현장실사를 통해 재정지원제한대학 해제 여부를 8월말 발표할 이보다 앞서 금주중으로 가결과를 각 대학에 통보할 예정이어서 도내 대학들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가결과가 좋게 나올 경우 대학들은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해제'가 되지만 좋지 않을 경우 심각한 상황을 맞게 된다.
또 다른 대학들도 대학 평가결과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평가 결과에 따라 재정지원제한대학에 포함되느냐 지원제학에 포함되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게 돼 대학들은 찜통같은 더위를 8월말까지 이어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부실대학 오명을 또 다시 쓰게 될 경우 대학들은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제한과 함께 국가 사업 참여제한, 대규모 정원감축까지 부담을 안게 된다.
도내 한 대학관계자는 "9월부터 본격적인 수시모집이 시작되지만 현재로서는 재정지원제한대학 여부를 알 길이 없어 답답하기만 하다"며 "발표에 따라 대학이 발전하느냐 퇴보하느냐의 기로에 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