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단양군, 대한민국 내륙관광 1번지 역사 새로 쓴다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 출범 '1호' 사업 선정
'단양역 관광시설 개발사업' 본격 추진 가능 '청신호'

  • 웹출고시간2024.03.27 13:40:30
  • 최종수정2024.03.27 13:40:30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 출범 '1호' 사업에 선정된 단양군 김문근 군수와 김명규(왼쪽) 충북도 경제부지사, 윤진오(오른쪽) 동부건설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충북일보] 대한민국 내륙관광 1번지 단양군이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로 단양 관광의 새 시대를 연다.

군은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이 주관하는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 출범 '1호' 사업에 선정되며 '단양역 관광시설 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6일 천안시청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정부, 지자체, 관련기관, 금융·산업계 등 500명 내외의 인사들이 참석해 단양군 1호 프로젝트 추진 사례를 발표했다.

군은 이번 선정으로 국내외 경기침체로 얼어붙었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시장 속에서 재원 조달의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전망하고 안정적 자금조달 및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써 총사업비 1천133억 원인 '단양역 관광시설 개발사업'은 충청북도와 단양군, 국가 철도공단, 민간 컨소시엄에서 공동 출자해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하고 정부에서 이를 뒷받침하게 됐다.

이 사업으로 단양역에 대단위 유원지가 조성돼 △남한강 케이블카 △대형 호텔 △미디어아트 터널 △로컬 마켓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선정은 평소 '도전하고 개척하는 자세'를 강조한 김문근 단양군수의 지휘 아래 전방위적인 사업 발굴과 투자재원확보를 위한 노력의 결실로 그 의미가 크다.

군은 충북도, 민간기업과 지난해 3월 9일 사업협약을 체결하고 지방재정투자심사(중앙·도)를 승인받는 등 다방면으로 사업절차를 추진했다.

김 군수는 "단양군은 인구가 3만도 되지 않는 도시지만 생활 인구는 27만 명으로 등록 인구의 8.6 배가 넘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관광도시"라며 "이번 사업 선정으로 단양에 1천만 관광객 시대를 넘어 2천만 관광객 시대를 견인하고 '내륙관광 1번지' 단양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게 됐다"고 확신했다.

이어 "관계기관과 지속해서 협력하고 사업을 꼼꼼히 살펴 단양의 관광 패러다임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는 지역·민간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 민간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모펀드는 정부 재정(1천억 원)과 산업은행 출자(1천억 원), 지방소멸대응기금(광역계정, 1천억 원) 등 총 3천억 원 규모로 올해 최초 조성됐다.

단양 / 이형수기자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인터뷰>임기근 39대 조달청장

[충북일보] "미래성장동력의 핵심인 중소벤처혁신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으로 지역은 물론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21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조달청 핵심 정책 추진 방향인 '중소벤처기업의 벗'이 돼 잠재력 있는 기업들이 마음껏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임 청장은 지난해 말 취임 후 경제 현장을 찾아 소통 행보을 이어가고 있다. 충북 방문 이유에 대해서도 "지역 민생경제 소통으로 미래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서"라고 요약했다. 임 청장은 지난해 첨단재생바이오 분야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 지역으로 선정된 충북은 앞으로 신제품·서비스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충북 내 다양한 유무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낼 수 있도록 공공조달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지역 내 중소벤처혁신기업 발굴부터 마케팅, 수출, 금융 등 총체적이고 입체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혁신 조달기업의 성장과 도약, 글로벌 진출을 돕는 범부처 협업프로젝트가 지원정책이 핵심"이라고 소개했다. 혁신조달기업 범부처 협업프로젝트는 임 청장의 행정철학과 조달기업의 성장 핵심 지원 방향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