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3.12.03 16:07:34
  • 최종수정2013.12.03 16:07:34
우리 경제의 난제중 하나가 전통시장 활성화다. 전통시장 활성화가 경제문제의 화두로 부각된 지 오래다. 지금도 비중은 다를 바 없다. 충북도가 어김없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나선다. 내년에는 222억원이 투입된다. 이는 올해 사업비 176억원보다 26.1% 증가한 것이다.

도, 내년 222억원 투입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와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향수의 전통시장 조성이 사업의 핵심이다. 도심 상가는 현대화를 넘어 첨단화되고 있는 기류다. 전통시장과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다.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들은 전통시장의 목을 더욱 죈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는 이유다.

착한 경제를 정착시키는 차원에서라도 전통시장 활성화는 당연하다. 시장의 양극화현상을 완화시키고 전통의 맥을 이어간다는 측면에서도 그렇다. 문제는 전통시장 활성화의 잣대가 없다는 점이다. 잣대도 없다 보니 기준에 얼마만큼 다가서야 활성화됐다는 합의도 없다. 지극히 개인적인 경기 체감에 의존할 뿐이다. 해서 전통시장 활성화라는 주장은 언제나 유효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것은 매번 지방선거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전통시장 활성화와 관련된 공약을 하지 않으면 당선될 확률이 그만큼 낮아진다는 사실이다. 전통시장 활성화라는 요구와 대책은 다람쥐 쳇바퀴 도는 식이다. 물밑에 가라앉아 있다가 어떤 계기가 되면 수면 위로 부상하고 당국은 대책을 내놓는다. 그렇다고 대책이 획기적인 것도 아니다. 당국으로서 어떤 식으로든지 부응할 수밖에 없다.

강 건너 불 구경 한다는 비난을 모면하려는 식이다. 지역 전통시장 곳곳에서 사업 예산을 받고도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것도 그 이유 중 하나다. 예산을 확보하고도 사업이 제때 시행되지 않는 것은 시장 인근 상인과 건물주, 해당 지자체와의 마찰이 해결되지 못한 탓이다. 이러고 보면 사업 시행 요건이 갖춰지지 않은 사안에 대해 지자체가 예산부터 내준 처사다. 아무리 시급한 현안일지라도 국민의 혈세를 이렇게 집행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지자체와 예산을 심의하는 의회가 선거에서의 표를 의식해 무턱대고 사업비부터 내줬다고 보는 게 오해일 수만은 없는 이유다. 시설 개선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첫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기본이다. 다음 숟가락을 떠야 한다. 그 숟가락에 무엇을 담을지 고민이 필요하다.

전통시장 간 양극화현상 심화도 문제다.

지자체들이 언제부터인가 각 시장별 경쟁력 평가를 통한 등급별 차등지원을 시도하고 있다. 형평성에 치우친 무조건적인 '퍼주기 식 지원'보다는 경쟁력이 높은 전통시장을 집중적으로 투자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꾀한다는 것이 취지다. 경쟁력 없는 전통시장에 지원이 끊긴다는 것은 곧 시장 운영에 적신호가 켜졌음을 뜻한다. 이제는 전통시장의 자생력을 갖추기 위해선 시장상인들부터 의식을 바꿔야 한다. 재래시장의 현 주소와 개선점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다시 찾고 싶은 전통시장'으로 먼저 시민에게 다가서야 한다.

경쟁력 향상만이 살 길

외부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상인 스스로의 변화를 위한 노력이 전통시장 곳곳에서 일어나야 한다. 주 고객인 이웃을 시장통으로 끌어들이는 선행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면 당장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차츰 상권 회복으로 반드시 이어질 것이다.

전통시장에 갈 때 송경동 시인의 '가두의 시'를 읊조리면 생생해진다. 사랑의 시다. '고등어 있어요. 싼 고등어 있어요. 저녁녘 "떨이 떨이"를 외치는 재래시장 골목 간절한 외침 속에 내가 아직 질러보지 못한 절규의 시가 있다. 그 길바닥의 시들이 사랑이다'

아랫목 경제가 살아야 나라가 커진다. 아랫목 경제의 보루,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은 여전히 불황이다.

모두가 순박한 열정이 느껴지고, 절실함과 성실함이 풍겨나는 전통시장을 한번쯤 찾아보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