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견병구

청주상당경찰서 사이버수사팀

우리나라는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급격한 경제발전을 이뤘다. 특히, 전 세계 인터넷 보급률 1위인 우리나라 정보통신의 발전은 전 세계 IT기기의 테스트베드라고 불리우면서 급격하게 발전을 했고, 케이블 TV, IP TV, 유/무선 인터넷, 스마트폰 등 디지털화하여 복합적 기능을 가진 뉴 미디어가 활발히 보급되었다. 이런 뉴미디어의 보급은 여러가지 순기능도 가져왔지만, 무시할 수 없는 역기능도 발생했다.

얼마 전 우리 사회를 떠들석하게 했던 사건이 있다. 미디어 중독의 범주에 속하는 게임중독에 빠진 22살의 아버지가 28개월 된 아들의 입과 코를 막아 살해하고, 시신을 쓰레기통에 담아 길가에 버린 사건이다.

이러한 미디어 중독에 빠지는 원인으로는 현대사회의 미디어 환경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의 청소년들이 부모세대와 다른 점은 태어날 때부터 뉴 미디어와 만나게 되고, 뉴 미디어를 이용해 서로간의 소통을 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에게 뉴 미디어란 일상적인 도구이며, 서로간의 상호 관계를 만들어주는 메신저, 놀이도구로 생각한다. 그런데,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들은 이러한 뉴 미디어의 즉각적 반응과 결과에 어느 순간 깊이 몰입하게 될 수 있고, 이러한 과다몰입 현상이 일어날 때 미디어 중독의 위험에 노출된다. 이러한 미디어중독의 문제는 학업, 정신건강, 대인관계, 사회부적응 등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 사용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이런 미디어 중독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려면 어릴때부터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우고, 제대로 이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워주려면 본인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고, 아직 미성숙한 청소년들에게는 부모님들의 미디어 사용 패턴이 그대로 적용이 될 수 있어 부모님들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http://www.iapc.or.kr)와 청소년미디어중독예방센터(http://www.mediajoongdok.com)에서는 미디어 중독에 대해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중독 척도검사를 제공하고 있다. 부모님과 자녀가 같이 진단을 해 보고, 진단 결과에 대해 서로간의 진솔한 대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충북지역에서는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중독 예방교육과 중독 고위험군에 대한 상담을 전담하는 충북 인터넷중독 대응센터(http://cafe.naver.com/cbiac)를 운영하면서 예방홍보 캠페인과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척도검사 등을 무료로 실시하고 있고, 특히 중독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집으로 찾아가는 상담활동도 병행하고 있다고 하니 이용해 보길 바란다.

이런 미디어 사용에 대한 인식과 예방, 상담, 치료 등을 통해 청소년과 부모님 모두 올바른 미디어 이용 습관을 갖고, 올바르게 사용하여 건전한 정보통신윤리 문화가 형성된 사회가 되길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