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청권 연대는 더 큰 꿈, 미래다

세종시·과학벨트 등 유치 '한마음 한뜻'
국토 중심 1특별시, 1광역시, 2광역도
"'충청 혼(魂)' 협력과 공조 지속돼야"

  • 웹출고시간2012.02.20 20:44:58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애초부터 충청도는 하나였다.

고려 공민왕 때 충청도로 불려 진 것이 시초다. 조선조 초기 태조 때 양광충청도(楊光忠淸道)를 경기도와 충청도로 분리하면서 충청도는 비로소 하나가 됐다.

1896년(고종 33년) 전국을 13도제로 개편, 충청남·북도로 분리될 때까지 충청도는 하나일 수밖에 없었다. 비록 공청도, 공흥도, 충흥도 등으로 개칭되긴 했어도 충청도는 오직 하나였다.

지난 1989년 대전이 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충청도가 세 조각이 되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그래도 충청권은 하나일 수밖에 없는 공동운명체로 타고났다.

이곳이 고향인 충청인은 대원군(大院君)이 평가했다는 청풍명월(淸風明月)의 기질로 태어났다. 언어도 똑같이 충청도 사투리를 사용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대전과 충남·북 사람들은 어디를 가도 다 같은 충청도 사람인 것이다.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충청도의 면적은 전부 합쳐 봤자 1만6천558㎢에 지나지 않는다. 인천·경기지역과 부산·경남을 합친 것보다는 넓은 편이다. 하지만 대구·경북의 1만9천908㎢ 및 광주·전남·전북을 합친 2만532㎢와는 비교가 되질 않는다.

인구가 적고 면적이 비좁은 데다 역대 정부의 정책적 배려까지 타 지역에서 독식하다 보니 경제성장면에서도 하위권에서 맴돌았다.

이제는 옛말이 됐다. 천지만물의 조화가 충청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충청 혼(魂)'은 대한민국 정치·행정·산업·과학기술·교통·물류·문화 등 각 분야 곳곳에서 웅비하고 있는 것이다.

오랜 칩거를 깬 충북의 기세는 임진년 흑룡(黑龍)의 기운을 닮았다. 과학의 도시 대전광역시가 첨단의 산물을 쏟아내고 있다면 충남은 도청사가 옮겨가는 내포신도시와 함께 환황해권 산업 경제의 중심지로 거듭날 채비를 하고 있다.

충북 오송과 오창산업단지가 미래 바이오 산업과 기초과학을 이끌 쌍두마차로 커가고 있다. 여기에 2012년 7월 대한민국의 제2의 수도 격인 '세종특별자치시'는 용의 눈에 점을 찍는다.

1특별시, 1광역시, 2광역도의 웅대한 모습이 바로 충청도의 기상이다.

충청은 이제 대한민국 행정 1번지다. 당장 서울과 과천에 분산 배치된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6개 부처 12개 산하 기관이 올해 새 둥지를 튼다. 오는 2014년까지 세종시로 이전하는 행정기관은 모두 36개에 달한다. 중앙 공무원 1만452명이 세종시로 이주하게 된다.

충청은 삼남의 관문이다. 전국 어디든 2시간 안팎이면 도착할 수 있다. 사통팔달의 길은 대전을 국내 최고의 교육과학 도시로 발전시켰고, 충남을 물류의 중심지로 탄생시켰다. 충북은 하늘길(청주공항)로 세계와 소통한다.

녹색성장의 중핵으로 떠오르는 충북 오송과 오창은 미국 바이오산업의 중심지인 몽고메리카운티에 필적할 곳으로 성장한다. KTX 오송역 개통과 함께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 1·2생명과학단지, 보건의료행정타운이 대한민국 향후 100년 동안의 바이오산업을 책임질 '오송시대'를 연다.

대전 대덕연구단지는 생명과학, 정보산업, 신소재·고분자, 정밀화학, 에너지·자원, 기계·해양·항공우주 등 90여개 연구기관이 밀집한 한국의 실리콘밸리다. 대덕연구던지는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를 갖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로 시너지 효과를 얻게 된다.

과학벨트가 대전에 입지할 수 있었던 것은 평가 과정에서 대덕지구가 우수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점이 절대적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기초과학발전을 염원하는 충청인의 단결된 힘과 과학기술계 인사들의 염원이 있었다. 또 이 염원을 현실화 하기 위해 음과 양으로 노력해 온 충청출신 정치권 인사들의 노력도 한 몫을 했다. 대전·충남북 지역민들은 과학벨트 입지문제가 도마위에 오르자 한목소리로 공약 이행을 촉구했었다.

이것이 임진년을 맞는 충청도의 현주소다. 충청도가 연대를 통해 일구어 낸 성적표다.

하지만 더 큰 꿈, 큰 미래를 위한 충청인의 하나 된 의식과 힘이 필요하다.

충청은 '호사다마'를 조심해야 한다. '알짜' 국책사업을 가져왔다고 좋아만 해서는 안된다. 타 지역에서는 충청도를 향해 "세종시에 중앙행정기관을 다 옮기고, 그것도 모자라 과학벨트까지 가져간 욕심쟁이"라고 언성을 높이고 있다. 충청권은 원칙만 내세워 무조건 떼를 쓴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문제는 충청권에 대한 이런 부정적인 시선들이 앞으로 대형 국책사업 선정과정에서 충청권 배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충청도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전·충남북이 하나로 뭉쳐야 한다.

충청이 하나로 뭉치지 않고는 영호남이 치열하게 각축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발전은 어렵기 때문이다.

충청 공동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협력과 공조가 필요하다. 이는 단지 현안 해결이라는 성과에 그치지 않고 충청 역량의 제고라는 명제와도 맞닿아 있다. 더 나아가서는 충청권 대통합 및 충청 역량의 제고라는 기치와도 연결된다.

/ 장인수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