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9.01.05 18:29:34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길은 본래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람이 가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길은 늘 광장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광장은 곧 희망이다. 희망이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다. 마치 드넓은 광장에서 시작되는 길과 같다. 걸어가면 곧 길이 되는 이치와 같다. 그래서 노력하고 실천하지 않으면 희망은 없다. 길을 가야 길이 만들어 지듯 희망도 품어야 깨어 나온다.

***실천 가능한 목표 세우기

올해는 새해를 맞는 느낌이 남다르다. 지난해 전대미문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탓인 듯싶다. 전망도 그리 밝지 않아 더 그렇다.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점치는 이들이 많다. 대내외적으로 직면한 환경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발전에서 경제 환경이 제일 조건은 아니다. 중요한 조건은 따로 있다. 경제주체들이 있는 그 자리에서 제 역할을 해야 경제발전이 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경제주체들의 적극적 활동은 경제부활의 제1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의 위기는 곧 미래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정부는 반시장적 요인들을 걷어내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기업은 어렵다고 움츠러들면 안 된다. 투자를 늘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 전력투구해야 한다.

국민들도 마찬가지다. 자신과 자신이 속해 있는 집단의 이익을 위해 분열하고 갈등하면 안 된다. 그러면 그럴수록 더 큰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지금은 국민 모두가 한마음이 돼야 할 때다.

누구나 요즘을 아주 힘든 시기라고 말한다. 신문에서도, TV에서도 하루도 빠짐없이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안녕하십니까'나 '식사하셨습니까'가 아침 문안 인사로 통용되던 시절도 있었다. 정상적 끼니 해결이 안 돼 그날그날 생사를 장담하기 어려운 시기였다. 불과 몇 십 년 전까지 그랬다.

지금이 그 정도는 아니다. 일부 사람들은 다이어트를 위해 끼니를 거르기도 한다. 달콤한 초콜릿 향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기도 한다. 살을 빼거나 찌지 않기 위해서다. 정말 어렵던 시절에 대한 반추가 필요하다.

지난 연말, 청주 도심 번화가에서도 캐럴 소리를 듣기 어려웠다. 경제 한파의 영향이었다. 연말 각종 성금 모금에서 개인 기부자들의 기부금도 줄었다. 정말 힘든 상황을 몸소 느꼈다. 그래서 새해맞이가 더욱 두려웠다.

그러나 희망이란 길이 있다. 그 길을 찾아 가면 된다. 우리는 1997년 말 불어 닥친 그 어려웠던 IMF 폭풍도 이겨냈다. 시간은 영원하게 흐른다. 우리는 그 속에서 잠깐 있다 가는 존재일 뿐이다.

실천 가능한 목표를 만들고 노력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거창한 결심은 정신건강에도 좋지 않다. 실천의 실패로 자신을 부정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특히 글로벌 경제 불황이 지속될 냉혹한 한 해가 예상된다. 그런 만큼 성공을 가능케 하는 긍정의 힘이 필요하다.

실천 가능한 목표를 세우자. 힘든 시기를 발전의 밑거름으로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새해 벽두라고 해서 인생을 바꿀만한 새로운 결심을 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하다.

수많은 광장에서 시작되는 희망의 길은 지금도 생겨나고 있다. 그 길은 자꾸 넓어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그 길을 지나고 있기 때문이다. 희망도 커지고 있다. 더불어 사는 사람들의 힘이다. 지금의 어려움은 또 한 번의 높은 도약을 위한 밑거름일 뿐이다.

***작은 이익 버릴 줄 알아야

희망이 정말 희망으로 끝날 때가 많다. 불철주야 애를 쓰지만 안 될 때가 많다. 성공하는 사람과 실패하는 사람이 극명하게 갈릴 때도 있다. 그래서 희망이 불안이 되고 절망을 만들기도 한다.

미래에 대한 불안은 사람의 고유한 특성이다. 한 치 앞을 모르는 게 인간이다. 그래서 앞날을 대비하기 위해 유난히 애쓰는 습성도 가졌다. 그러나 초조해 하지 말자. 미래의 큰 이익을 위해 지금의 작은 이익을 버릴 수 있다면 성공할 수 있다.

올해는 소띠의 해다. 우보만리(牛步萬里) 자세로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간다면 위기 극복은 의외로 빠를 수 있다. 느림은 기다림이자 또 다른 희망 품기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