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사통팔달 교통망에서 또 다시 변방으로 내몰릴 처지다.
과거 정권에서 구상됐던 제2경부 고속도로 건설 계획은 '서울~세종 고속도로'로 변경돼 충북을 배제한 채 추진되고 있다.
충청권의 갈등을 야기한 KTX세종역 신설 논란은 오는 2020년 총선을 앞두고 전국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의 X축 중심지라는 충북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이런 위기가 도래하기까지 충북도와 정치권의 태도는 다소 미온적이었다.
현재 서울~세종 고속도로로 바뀐 제2경부 고속도로는 지난 2004년 처음 구상된 이후 2008년 이명박 정부가 광역경제권 30대 선도프로젝트 사업에 포함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때문에 당시 이시종 충북지사가 역점 추진하던 중부고속도로 확장은 제동이 걸렸다. 이에 이 지사는 제2경부 추진에 줄곧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제2경부가 충북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시기는 2014년 6회 지방선거 때다.
당시 이 지사는 중부 확장을, 경쟁 상대였던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윤진식 후보는 제2경부 청주 경유를 각각 공약했다.
이 지사는 선거에서 승리한 뒤 2015년 9월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이 모인 자리에서 서울~세종 고속도로 조기 건설 추진에 합의했다.
'제2경부', '서울~세종'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던 해당 고속도로 명칭도 그해 경제장관회의에서 '서울~세종 고속도로'로 확정됐다.
서울~세종 고속도로의 윤곽이 잡혀가는 단계에서 청주 경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제기됐지만, 도는 소극적이었다.
중부 확장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급기야 도와 청주시는 공동연구용역을 진행해 서울~세종고속도로의 청주 경유가 중부 확장에 주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결론을 얻고서야 겨우 한목소리를 냈다.
도는 청주시가 주장하는 '청주 경유', '오송 지선' 등의 요구를 정부에 전달했다.
그러나 이미 서울~세종 고속도로 노선은 충북을 경유하지 않은 채 서세종으로 향하는 쪽으로 확정 수순을 밟고 있다.
세종역 논란에 대해서도 충북도는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세종역 신설을 정치권의 이슈 선점용으로 시작됐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유한식 세종시장이 세종역 신설을 공약하면서 공론화됐지만 그가 낙선하면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이해찬(세종) 의원은 2016년 총선에서 다시 세종역 설치를 공약했고, 이춘희 세종시장도 동조했다.
충북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거세게 반발했다.
충북도 역시 반대 입장을 피력했지만, 능동적으로 나서지는 않았다.
논란은 지난해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사전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없다(BC 0.59)는 결론에도 종식되지 않았다.
그러나 충북도는 세종역 신설 배경에 대해 "상황이 변한 게 없다"며 대응을 자제했다.
세종과 충남에서 세종역 설치 주장이 제기된 이후 이장섭 충북도 정무부지사는 지난 9월 13일 간담회를 자청해 "공식적으로 대응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충북도의 소극적 판단은 결국 오판(誤判)이 됐다.
이 부지사의 발언 직후 세종역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됐다.
무소속 이용호(남원·임실·순창) 의원과 바른미래당 주승용(여수을) 의원, 민주평화당 정동영(전주병) 의원 등 호남권 의원들이 앞 다퉈 세종역 신설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부랴부랴 정치권과 정부, 국회를 상대로 세종역 신설 반대 의사를 전달하기 바빴지만 선제적 대응과는 거리가 멀었다.
현재 세종역 논란은 전국적 확산 분위기에 휩싸여 총선의 최대 쟁점으로 부상해 버렸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충북은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의 중심지라는 위상을 갖춰나가고 있었지만, 세종에 집중되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대응이 능동적이지 못해 사통팔달의 기능이 약화될 처지"라며 "그에 따른 충북 지자체와 정치권의 책임론도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