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5.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예비후보와 입후보예정자 어떤 차이 있나

선거사무소, 유급사무원, 문자메시지 등 차등 대우

  • 웹출고시간2015.12.15 20:06:02
  • 최종수정2015.12.15 20:06:05
[충북일보] 15일부터 20대 총선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면서 예비후보자와 입후보 예정자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총선 관계자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충북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각 선관위에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면 선거사무소 설치 등 현역 국회의원에 버금가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극도로 제한됐던 선거운동이 시작될 수 있고, 홍보 방법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총선 출마를 준비해 온 원외 인사들의 경우 이번 예비후보 등록을 '족쇄를 푼 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선거사무소 설치가 가능하다. 관할 선관위에 신고한 뒤 1개의 사무소를 설치할 수 있다. 선거사무소 내에 1개의 대책기구도 설치가 가능하다.

선관위에 등록되지 않은 입후보 예정자는 선거사무소를 설치할 수 없고, 다만, 선거준비사무소 1개소를 설치할 수 있다.

선거사무소에 간판 등을 설치하는 행위도 예비후보의 경우 간판과 현판, 현수막 게시가 가능하다. 이때 규격과 매수(수량)은 제한이 없다. 내용은 자신을 홍보하거나 그 밖에 선거운동에 이르는 내용을 게시할 수 있다. 반면, 입후보 예정자는 선거사무소 간판 설치 등이 제한된다.

예비후보자는 유급선거사무원을 선임할 수 있다. 관할 선관위에 신고하고 사무장을 포함해 3명 이내의 사무원을 선임하고 수당과 실비를 지급할 수 있는 반면, 입후보예정자는 불가능하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선거운동은 예비후보와 입후보 예정자 모두 가능하다.

전자우편은 선거일이 아닌 때에 선거운동에 해당하는 내용(문자·음성·화상·동영상 포함)을 전송대행 업체에 위탁해 선거구민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선관위 등록이 이뤄지지 않은 입후보 예정자는 선거일이 아닌 때에 선거운동에 해당하는 내용(문자·음성·화상·동영상 포함)을 선거구민에게 전송할 수 있지만, 전송대행 업체에 위탁해 전송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예비후보자의 문자메시지는 선거일이 아닌 때에 음성·화상·동영상 등을 제외한 문자메시지 전송 가능하다. 단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동보전송은 5회까지 가능하다.

입후보 예정자도 선거일이 아닌 때에 음성·화상·동영상 등을 제외한 문자메시지 전송이 가능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정보 전송은 불가능하다.

전화통화의 경우 예비후보는 송·수화자 간 직접 통화가 가능하지만, 입후보 예정자는 할 수 없다.

명함 배부는 자신을 홍보하는 내용(학력의 경우 정규학력과 이에 준하는 외국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력)을 게재한 명함을 직접 주거나 지지를 호소할 수 있다. 또 시장·거리 등 공개장소를 방문해 명함을 주거나 인사·지지를 권유하는 행위도 가능하다.

입후보 예정자는 사진·성명·주소·전화번호·학력·경력·현직 등 의례적인 내용 외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용을 게재할 수 없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상대방과 인사시 의례적으로 명함을 주고받는 행위 외에 거리·시장 등에서 만나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명함을 배부할 수 없다.

예비후보자 홍보물은 매세대의 10/100에 해당하는 범위 안에서 신고 후 요금별납의 방법으로 발송이 가능하고, 입후보 예정자는 불가능하다.

어깨띠 및 표지물은 예비후보의 경우 선거운동을 위해 어깨띠 또는 예비후보자임을 나타내는 표지물 착용이 가능하고, 입후보 예정자는 불가능하다.

예비후보는 후원회를 설립할 수 있고, 최대 1억5천만원 까지 후원금 모금이 가능하지만, 입후보 예정자는 불가능하다.

충북도선관위의 한 관계자는 "예비후보자 등록에 필요한 사항과 예비후보자가 할 수 있는 선거운동방법 등에 관한 궁금한 사항은 국번없이 1390번으로 전화하거나 관할 선관위에 문의하면 된다"며 "예비후보자 제도에 대한 맞춤형 사전안내 및 예방활동을 강화하고, 광역조사팀과 공정선거지원단 등을 통해 단속시스템을 강화하고 선거법 위반행위에 대한 단속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네티즌의견 0

Guest
0 / 300 자
선택된 파일 없음 파일 선택
등록하기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