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부는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

12월의 독립운동가 윤봉길 의사 선정

2019.12.02 13:18:34

[충북일보 윤호노기자] 충북북부보훈지청은 국가보훈처, 광복회, 독립기념관이 공동으로 선정한 12월의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6.21~ 1932.12.19) 의사를 지역민에게 홍보하고 나섰다.

윤봉길 의사는 1908년 6월 21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에서 태어났다.

1927년 '농민독본(農民讀本)' 3권을 저술해 한글교육 등 문맹퇴치와 민족의식 고취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1928년 부흥원(復興院)을, 1929년 월진회를 설립해 농촌계몽운동을 실시했다.

1930년 3월 의사는 '장부출가 생불환(丈夫出家 生不還;대장부가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이라는 비장한 글을 남긴 채 정든 가족을 뒤로하고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길에 올랐다.

이후, 중국 상해에서 백범 김구 선생을 만나 의열투쟁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던 중 '1932년 4월 29일 일왕(日王)의 생일인 천장절(天長節)을 일본군의 상해사변 전승 축하식과 합동으로 상해 홍구공원에서 거행할 예정'이라는 보도를 접하고 의거를 결심했다.

의거 3일 전 1932년 4월 26일, 의거가 개인적 차원의 행동이 아니라 한민족 전체의사를 대변한다는 점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백범 선생이 주도하던 한인애국단에 가입했다.

의거 당일 1932년 4월 29일 홍구공원에는 수많은 인파가 운집했고 경계가 삼엄한 가운데, 단상 위에는 시라카와(白川) 대장과 해군 총사령관인 노무라(野村) 중장, 우에다(植田) 중장, 주중공사 시게미쓰(重光),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타(河端), 상해총영사 무라이(村井) 등 침략의 원흉들이 도열해 있었다.

오전 11시 40분경 축하식 중 일본 국가 연주가 거의 끝날 무렵, 의사는 앞사람을 헤치고 나아가 단상 위로 수통형 폭탄을 던졌고, 폭탄은 천지를 진동하는 굉음을 내고 식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이 의거로 시라카와 대장과 가와바타 거류민단장은 사망하고 노무라 중장은 실명, 우에다 중장 등은 중상을 입었다.

그 결과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특히 중국의 장개석 총통은 "중국의 백만 대군도 못한 일을 일개 조선 청년이 해냈다"고 감격하며 임시정부에 대한 중국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이어졌다.

체포된 의사는 가혹한 고문 끝에 1932년 5월 25일 상해 파견 일본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았고, 같은 해 12월 19일 가나자와(金澤) 육군형무소 공병 작업장에서 25세의 젊은 나이로 순국했다.

의사의 유해는 일제에 의해 버려졌고, 광복 후인 1946년에야 조국에 봉환돼 효창공원에 안장됐다.

정부는 의사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충주 / 윤호노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