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주시, 'K-수소충전소' 표준모델 선도

산자부 수소충전소 핵심설비 국산화, 효율향상 공모사업 선정

  • 웹출고시간2024.05.16 16:42:42
  • 최종수정2024.05.16 16:42:42
[충북일보] 충북도와 충주시는 16일 충주시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소충전소 내 핵심설비와 부품 내구성 및 효율 향상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수소경제사회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핵심설비 국산화율 100% 달성을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다.

그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국비 156억4천만원, 지방비 5억원, 민간 35억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196억4천만원 규모로 수소충전소 핵심설비인 압축기, 냉각기, 충전기의 국산화를 통한 내구성 및 효율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고등기술연구원을 주관기관으로 올해부터 2029년 3월까지 충북도, 충주시, 한국자동차연구원, 고려대, 창원산업진흥원, MSENG 등 14개 기관이 협업해 기술개발과 통합 실증을 추진한다.

고등기술연구원은 사업의 총괄 주관기관으로 평가법 개발과 수소충전소 실증을 담당한다.

한국자동연구원, GTC, 범한산업은 압축기 개선과 평가, MSENG, 삼정이엔씨, 제아ENG, 에너진, Mt.H는 충전기, 냉각기 개발 및 평가를 담당한다.

각 단위 부품에 대한 실증운영은 창원산업진흥원과 코하이젠에서 수행한다.

핵심단위 부품의 기술개발 및 실증을 완료하면 2026년 충주 바이오그린수소충전소에 통합장비를 구축하고, 2027년부터 현장 성능 평가를 시작한다.

시는 그린수소 중심도시 조성을 목표로 현재까지 수소충전소 3곳을 운영 중이다.

또 수소승용차 544대, 수소시내버스 12대, 수소고상버스(관광)5대를 누적 보급해 탄탄한 수소경제도시를 구축해 가고 있다.

시는 사업을 통해 수소충전소 핵심 설비 국산화와 표준화를 선도하고, 지역 내 수소충전소 내구성 향상과 에너지 효율 증대로 시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고등기술연구원은 2019년 국내 최초 바이오융복합충전소 사업을 시작으로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사업 등 수소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시와 함께 추진해 왔다.

이런 인연을 바탕으로 2023년 고등기술연구원 충청캠퍼스를 설립해 충주 최초의 민간 연구기관으로 자리잡았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충주시가 국내 수소산업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목표로 내세운 정부 정책에 발맞춰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충주 / 윤호노기자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보은·옥천·영동·괴산 박덕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보은·옥천·영동·괴산 국민의힘 박덕흠 "우리 동남 4군 군민의 응원과 지지 덕분에 여러 가지 힘든 상황에서도 4선 국회의원으로 당선한 것 같습니다. 박덕흠을 4선 중진으로 키워준 보은·옥천·영동·괴산군민의 소중한 한 표를 가슴 깊이 담아 앞으로 지역 발전과 좋은 의정활동으로 꼭 보답하겠습니다"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4선 중진 의원의 역할과 책무를 고민하며 지역 발전의 세세한 방안을 구상 중인 국민의힘 박덕흠(70) 당선인은 충북일보와 인터뷰에서 선거 운동 기간 약속했던 공약 이행을 통해 지역구인 보은·옥천·영동·괴산군의 발전을 앞당기려는 각오를 다시 한번 다졌다. 이번 선거에서 박 당선인의 정치 여정은 순탄치 않았다. 공식 선거 운동 전 여론조사에선 더불어민주당 이재한 후보와 지지율이 1%P로 좁혀지면서 초접전 양상을 띠었고, 갈수록 고소 고발도 난무했다.박 당선인은 선거 운동 기간 "한 번 더 일할 기회를 달라"며 진심의 정치를 내세웠다. 이 결과 박 당선인은 4선의 중견 정치인이 됐다. 정계 인사들은 동남 4군 유권자들이 이번 총선에서 개혁보다 지역 발전을 우선시하고 힘 있는 4선 국회의원을 선택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