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7.0℃
  • 맑음서울 13.9℃
  • 맑음충주 14.0℃
  • 맑음서산 14.0℃
  • 맑음청주 13.6℃
  • 맑음대전 14.9℃
  • 맑음추풍령 14.5℃
  • 맑음대구 14.8℃
  • 맑음울산 13.4℃
  • 맑음광주 15.2℃
  • 구름조금부산 15.1℃
  • 맑음고창 14.0℃
  • 맑음홍성(예) 14.7℃
  • 구름조금제주 13.9℃
  • 맑음고산 11.2℃
  • 맑음강화 12.3℃
  • 맑음제천 13.2℃
  • 맑음보은 14.2℃
  • 맑음천안 12.8℃
  • 맑음보령 14.4℃
  • 맑음부여 13.3℃
  • 맑음금산 14.2℃
  • 맑음강진군 15.5℃
  • 맑음경주시 15.5℃
  • 맑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흔들리는 오송의 현주소 - 온갖 불법에 오송역세권 몸살

지구지정 해제 후 역 인근 편·불법 난무 '무법천지'
단속 사각지대 주변마을 불법 주정차로 몸살
택시, 법정 구간 무시…부당요금 청구 빈번

  • 웹출고시간2014.01.28 19:07:51
  • 최종수정2014.01.28 19:07:38
지난해 12월31일 지구지정이 해제된 오송역세권은 그야말로 무법천지다. 단속을 경고하는 현수막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불법 주정차된 차량들이 역 주변 도로에 줄지어 서 있다. 지역 주민들과의 마찰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을 정도다.

일부 택시업자들은 교묘하게 단속을 피하며 불법 영업을 자행하고 있다. 결국 충북의 관문이라고 일컬어지는 오송역은 물론 충북에 대한 이미지까지 실추시키는 꼴이 되고 있다.

8년여 동안 뾰족한 수 없이 방치된 역세권 개발에 주민들은 몸살을 앓고 있다. 지구지정이 해제된 지난해 12월31일을 전후로 이른바 '딱지거래'에 대한 움직임도 속속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

◇오송역세권 불법 온상 전락

청원군 오송역 주변 도로가 여전히 불법 주정차된 차량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은 지난 24일 오송역 주변 도로 위에 불법 주차된 차량들.

ⓒ 최범규 기자
매일 아침·저녁으로 오송역 주변은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몸살을 앓는다.

현재 오송역에는 A·B·C 주차장에 각각 350대, 440대, 75대를 수용할 수 있는 유료 주차공간이 있다. 하지만 지난 2011년 9월까지만 해도 A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은 하루 100여대에 불과했다.

비싼 주차요금 때문이었다. 기본요금(30분), 추가요금, 1일 요금 등이 모두 청주공항과 비교해 2배가량 비쌌다.

주차장 옆 도로는 항상 불법 주차된 차량들로 빼곡해 지역 주민들은 상당한 불편을 겪었다.

이후 주차요금을 절반정도로 대폭 인하해 불법 차량들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최근 불법 주정차 차량들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취재결과 확인됐다.

역 주변 마을 입구는 여전히 단속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는 셈이다. 역 주변에 머물 곳이 전혀 없는데다 대중교통 여건마저 열악한 오송역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한 불법 영업도 성행하고 있다.

일부 택시기사들은 법정 구간을 무시하고 부당하게 요금을 청구하는가 하면 서로 무전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며 교묘하게 단속을 피하기도 한다.

◇부동산 딱지거래 '꿈틀'

충북개발공사 등에 따르면 현재 오송역세권 66만㎡의 편집지역 내에 단독주택은 모두 220여 가구다.

이중 도를 비롯해 도내 상당수의 선출직들이 오송역세권 개발 무산의 최대 요인으로 꼽는 이른바 '벌집'은 모두 52동이다. 지난 2005년 '2025 오송신도시 기본계획' 수립 이후 건축허가가 이뤄진 사례다.

도는 그동안 이 '벌집'들을 투기용으로 지목, 역세권 사업의 백지화 원인인 '땅값 폭등'의 주요인으로 공공연하게 거론했다.

그러나 결국 지자체의 부실한 관리를 자인한 꼴이 된데다, 지난 2011년 12월30일 도시개발지구 지구지정 이후 허가 난 사례도 없어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다는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정작 큰 문제는 엄격한 규제 속에서도 이런 '벌집'들에 대한 불법거래가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인근 공인중개업자나 지역 주민들은 이미 이른바 '딱지'를 통한 불법 거래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지구지정이 해제되기 전부터 대략 1억원에 불법 거래되고 있었다고 귀띔하는 주민들이 상당수였다.

특히, 일부지만 한 사람이 차명으로 3~4채씩 소유한 경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지자체가 역세권 개발의 발목요인으로 꼽는 투기세력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종시 편입론·심판론 확산

충북도와 청원군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이 급기야 '세종시 편입론', 현 단체장에 대한 '심판론'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오송역세권원주민대책위원회는 지구지정 해체 일주일 앞둔 지난해 12월23일 청원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종시 편입을 추진하겠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더 이상 발전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지역주민들을 볼모로 삼지 말라"면서 "여론조사 등을 거친 뒤 세종시 편입을 위한 주민투표를 실시할 것이며 청원군의회는 51% 이상의 찬성 의견이 나오면 즉각 편입을 의결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시에는 현실성이 결여된다는 이유로 이들의 주장에 대해 크게 염려하는 분의기는 아니었다. 그러나 그만큼 민선5기에 대한 불신의 골이 깊어졌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었다.

오송 주민들은 '세종시 편입'에 대해 각기 다른 의견을 보였지만 오는 6·4지방선거에서의 '심판론'에 대해서는 하나의 목소리로 통일됐다.

유모(60·오송읍 궁평리)씨는 "현재 민선5기는 북부지역 개발에만 앞장서며 정략적인 접근만 일삼고 있다"며 "주민들의 생존권을 등한시한 결과에 대해 이번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심판하겠다"고 말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