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2018.07.22 16:13:13

홍성란

수필가

한 여름 뙤약볕은 뜨겁다 못해 따갑다. 이 따가운 뙤약볕을 삼켜서야 소금이 온다. 시골본가에는 오래 된 장독이 몇 있다. 장독대 뒷줄에는 소금독이 하나 있는데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딱딱하게 굳었다.

얼마나 단단한지 그릇으로 퍼낼 수가 없어서 탁탁 치거나 뾰족한 것으로 후벼야 겨우 한 소금 퍼낼 수 있다. 장마 지난 시골집이 궁금해 찾아왔다. 짐작대로 울안이 온통 눅눅하다. 이리저리 둘러보다 허물어진 장독대 앞에 섰다. 

이맘 때 쯤, 장독대 둘레에는 나팔 모양의 붉은 분꽃이 피었었다. 밥 짓는 시간이란 걸 짐작케 한다는 분꽃이 피고 나면 봉숭아 채송화 맨드라미가 시샘이라도 하듯 연이어 피어난다. 그뿐인가 어머님이 좋아하시던 더덕 꽃이 피어나면 장독대가 향기로 가득했는데. 꽃도 사람도 보이지 않으니 무심함만이 떠돈다. 신주단지 모시 듯 쓸고 닦고 매만지시던 어머님의 장독대였다. 어제처럼 어머님의 뒷모습이 선명하게 떠오른다. 어디선가 어머님의 목소리도 들리는 것 같다. "에미야, 소금은 간수를 빼고 써야 한다"

해마다, 봉숭아 열매가 툭 터질 때 쯤 소금이 왔던 것 같다. 가다보니 소금 오는 날 가게 됐다. 어둡고 불편했던 시절이니 동네별로 신청해야 소금가마니를 받을 수 있었다. 그렇게 신청한 소금이 도착하면 아버님은 천일염 100% 도장이 찍힌 소금가마니를 지게에 지고 오시고. 어머님이 밑창 구멍 뚫린 빈 독에 천일염을 가득 채우고 나면 종일 출렁이던 신안바다가 빠져나온다.

그렇게 빠져 나온 바닷물은 장독대 바닥으로 흘러내려 더러는 흰 꽃이 피고 더러는 고드름처럼 길게 뻗쳐 있었는데 코를 대면 바다냄새가 나는 것 같았다. 찝찝하고 약간은 쓴 맛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참 소금이 뭔지도 모르면서 맛을 본 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한 때, 소금은 내게 그저 맛을 내는 식품이었다. 소금이 바다가 바다를 낳고 파도가 파도를 낳는 산고(産苦)의 눈물이란 걸 머리로만 이해했던 철부지였다. 그런 철부지에게 눈물이 뭔지 땀이 뭔지를 비지땀과 고무래질로 본을 보이신 분이 어머님이셨다. 어려운 삶 속에서도 불평보다 희망을 욕심보다 분수를 지키셨던 분. 마음의'간수'를 빼지 않고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기에 신혼 초 며느리에겐 어렵고 힘든 시기였다. 그럼에도 수 천 번의 고무래질로 바닷물을 밀고 고르는 염부처럼 묵묵히 기다려 주셨다. 어머님의 소금 같은 미소와 소금 같은 담담한 사랑 덕분이었을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짜고 쓴 맛이라고 함부로 대하거나 업신여겨선 안 될 일이란 걸 깨달았다.

그것이 삶의 상처를 씻어내 새 살을 돋게 하는 신비스럽고 오묘한 맛이란 것도 알게 됐다. 세상살이가 단맛만 있다면 삶이 얼마나 삭막한지 깨닫게 해 주는 게 소중한 '간수'란 걸 삶을 통해 알게 된 것이다.

손톱으로 '소금 산'을 헤집어본다. 몇 번의 시도 끝에 소금 몇 알이 튀어나왔다. 손바닥 위에 소금을 올려놓는다. 하얀 육각형 결정체가 햇빛에 쨍하고 반짝인다. '간수' 빠진 소금의 위용이다. 그의 몸이 이토록 맑고 투명할 수가 없다. 그가 지나온 날을 되짚는다. 버릴수록 투명해지는 한 알의 소금이 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날을 모진 땡볕과 해풍을 견뎠던가. 긴 장마로 주인의 염전바닥 치는 한숨소리를 들으면서도 묵묵히 제 갈 길을 갔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삶에서 무엇을 견뎠으며 마음의 어떤 '간수'들을 버렸던가.

여태까지 먹은 소금양이 엄청날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내 안엔 '간수'가 완전히 빠지지 않아 생각과 행동을 절이지 못할 때가 많다. 이웃의 아픔을 외면하거나 건성으로 대하기도 하고, 작은 상처에도 오래 아파한다.

이 모두 삶의 '간수'를 빼지 못함일 것이다. 한 때는 땡볕이 되고 해풍이 되었던 어머님. 돌아보니 볕과 바람이 있었기에 고통 없이는 소금이 오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됐다. 장독을 쓰다듬는다. 투박하지만 둥근 독에서 소금 닮은 어머님의 미소가 어른거린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