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지진이 났을 때 신속 정확히 지역 상황을 파악, 주민들이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하는 전국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종합상황실 약 '3곳 중 1곳'은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국회의원(인천남동갑)이 행정안전부에서 받아 15일 언론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 전국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와 종합상황실 271 곳 중 내진(耐震) 설계가 된 곳은 64.2%인 174곳이었다. 따라서 나머지 35.8%(97곳)는 설계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7개 시·도 가운데 내진 설계율이 100%인 곳은 세종시 뿐이었다. 이어 △대전(87.5%) △광주(85.7%) 충북(84.6%) 등 3개 시·도가 80%를 넘었다.
하지만 △제주(25.0%) △전남(37.5%) △강원(42.9%) 등 3개 시·도는 내진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경북(53.8%), 인구가 집중된 서울(59.4%)도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현행 '지진·화산재해대책법' 17조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장은 해당 지역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와 재난안전상황실에 대해 반드시 내진 설계를 하도록 의무화돼 있다.
한편 박 의원이 소속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내년 정부 예산안에서 전국 지자체 공공 시설물 내진보강 지원비 143억 원을 늘리는 안건을 14일 통과켰다.
박 의원은 "지난해 경주 지진에 이어 또 다시 강한 지진이 인근 포항에서 발생해 국민들의 불안감 커지고 있다"며 "긴밀한 대응체계 마련을 위해 전국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상황실의 내진 설계가 조속히 보완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 / 최준호기자 choijh595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