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에서는 건양대와 상명대 천안캠퍼스 등 충남지역 2개 대학만이 선택됐다.
충북에서는 한국교통대와 충북대, 세명대, 서원대, 영동대가 신청했으나 1차 심사에서 한국교통대, 충북대, 세명대가 살아남았고 최종 선정과정에서 모두 탈락했다.
프라임사업은 산업 수요에 맞게 학과를 통폐합하거나 수십명에서 수백명의 정원 조정을 하는 대학에 예산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한국교통대의 경우 500명이 넘는 학생을 감축하는 등 대단위 계획을 제출했으나 고배를 마셨고, 충북대와 세명대도 대학의 체질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했으나 모두 탈락했다.
또 영동대와 서원대도 대학구조조정을 통한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꾀했으나 탈락해 아쉬움을 남겼다.
이번 프라임 사업 선정결과 충북도내 대학들이 전멸을 하자 일부 대학들은 내년에 있을 교육부의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대비에 들어갔다.
충북도내 대학들은 비인기학과와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통폐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프라임 사업을 위해 수립했던 대학 구조조정 계획은 이행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교통대의 경우 프라임 사업을 위해 500명이상의 정원이동 계획을 세우는 등 대대적인 대학구조개혁을 추진했으나 탈락하면서 대학측이 고민에 빠졌다. 충북대도 단과대학을 신설하는 등 학과이동을 추진키로 한 계획은 그대로 이어갈 계획이나 향후 조정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영동대와 서원대, 세명대 등도 구조조정은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나 사업 탈락으로 인한 후유증 등을 고려해 일부 조정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내 대학들은 이번 프라임 사업 추진과정에서 충분한 학내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은채 무리하게 학과 정원을 조정하고 통폐합하면서 학내갈등도 겪어왔다. 특히 취업이 유리한 학과로 정원조정이 이뤄지다보니 취업률이 낮은 학과들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도내 한 대학관계자는 "사업추진과정에서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추진됐는지와 교직원과 학생 등의 합의 등도 심사기준에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대학들은 다시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병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