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내 대학 프라임사업 '전멸'

프라임 탈락 대학, 2주기 구조개혁 대비 '집중'
일부 대학 구조조정 계획 수정 불가피

2016.05.03 15:42:06

[충북일보] 단군 이래 최대의 대학 지원 사업으로 불리울 정도로 대학가의 관심을 끌었던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이하 프라임) 사업에 충북도내 대학들이 단 한곳도 선정되지 못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3일 발표한 프라임 사업 선정 결과 충북도내 대학에서 단 한 곳도 선정되지 않아 충격에 휩싸였다.

전국에서는 21개 대학이 최종 선정됐다.연간 150억원가량을 3년간 지원받는 대형(사회수요 선도대학) 유형에 건국대 등 9개교, 50억원 안팎을 3년간 지원받는 소형(창조기반 선도대학) 유형에는 성신여대 등 12개교가 선정됐다.
충청권에서는 건양대와 상명대 천안캠퍼스 등 충남지역 2개 대학만이 선택됐다.

충북에서는 한국교통대와 충북대, 세명대, 서원대, 영동대가 신청했으나 1차 심사에서 한국교통대, 충북대, 세명대가 살아남았고 최종 선정과정에서 모두 탈락했다.

프라임사업은 산업 수요에 맞게 학과를 통폐합하거나 수십명에서 수백명의 정원 조정을 하는 대학에 예산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한국교통대의 경우 500명이 넘는 학생을 감축하는 등 대단위 계획을 제출했으나 고배를 마셨고, 충북대와 세명대도 대학의 체질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했으나 모두 탈락했다.

또 영동대와 서원대도 대학구조조정을 통한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꾀했으나 탈락해 아쉬움을 남겼다.

이번 프라임 사업 선정결과 충북도내 대학들이 전멸을 하자 일부 대학들은 내년에 있을 교육부의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대비에 들어갔다.

충북도내 대학들은 비인기학과와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통폐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프라임 사업을 위해 수립했던 대학 구조조정 계획은 이행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교통대의 경우 프라임 사업을 위해 500명이상의 정원이동 계획을 세우는 등 대대적인 대학구조개혁을 추진했으나 탈락하면서 대학측이 고민에 빠졌다. 충북대도 단과대학을 신설하는 등 학과이동을 추진키로 한 계획은 그대로 이어갈 계획이나 향후 조정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영동대와 서원대, 세명대 등도 구조조정은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나 사업 탈락으로 인한 후유증 등을 고려해 일부 조정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내 대학들은 이번 프라임 사업 추진과정에서 충분한 학내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은채 무리하게 학과 정원을 조정하고 통폐합하면서 학내갈등도 겪어왔다. 특히 취업이 유리한 학과로 정원조정이 이뤄지다보니 취업률이 낮은 학과들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도내 한 대학관계자는 "사업추진과정에서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추진됐는지와 교직원과 학생 등의 합의 등도 심사기준에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대학들은 다시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병학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1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