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충북도내 대학들이 정부의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이하 프라임 사업)을 두고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충북도내 대학들에 따르면 "프라임 사업은 사실상 이공계 중심의 구조조정을 뜻한다"며 "이 사업을 추진하려면 이공계의 구조조정이 뒤따라야 한다. 대학들이 이 부분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프라임 사업은 대학의 체질을 사회 변화와 산업 수요에 맞도록 개선해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것으로 내년도에 2천12억원을 시작으로 2018년까지 3년간 지원한다.
이 사업은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사업과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사업으로 구분된다.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사업의 경우 취업·진로 중심 학과로의 전면 개편과 학생 중심의 학사제도 개선,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사업은 창조경제·미래 유망 산업 중심의 교육개혁 추진과 창업학과 등 창의적 교육 모델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중장기 인력 수급 전망을 개선, 학과별 전망을 11월 중 대학에 제공할 예정이다.
대학들이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입학정원의 10%(최소 100명 이상) 또는 200명 이상을,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입학정원의 5%(최소 50명 이상) 또는 100명 이상을 산업수요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프라임 사업은 이공계 중심의 구조조정으로 대학들은 분석하고 있다.
충북도내 대학들에 따르면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에 선정되려면 산업수요에 맞게 학과를 개편해야 한다.
문제는 프라임 사업 선정 대학 수와 지원금이 2016에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사업을 통해 9개 대학 내외에 최소 150억 원에서 최대 300억 원까지,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사업을 통해 10개 대학 내외에 평균 50억 원이 지원돼 생각보다 적다는 것이다.
충북도내 한 대학관계자는 "대학들은 사업 선정에 대한 확신 없이 구조조정을 단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현재 대학들이 이공계 중심의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내홍과 반발이 이어지고 있어 심각한 고민에 빠져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프라임 사업을 위해 대학 구성원간 심각한 논의를 하고 있으나 여의치 않아 고민중에 있다"며 "학내반발을 무시하고 프라임 사업을 추진하기는 부담이 간다"고 말했다.
/김병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