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1℃
  • 구름많음강릉 20.5℃
  • 맑음서울 15.2℃
  • 구름조금충주 15.5℃
  • 구름조금서산 17.1℃
  • 구름조금청주 17.1℃
  • 구름조금대전 18.3℃
  • 구름조금추풍령 16.7℃
  • 맑음대구 16.9℃
  • 구름조금울산 16.6℃
  • 맑음광주 19.3℃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9.8℃
  • 구름조금홍성(예) 18.1℃
  • 흐림제주 23.7℃
  • 구름조금고산 16.3℃
  • 구름조금강화 14.8℃
  • 구름조금제천 12.6℃
  • 구름조금보은 16.5℃
  • 맑음천안 15.9℃
  • 구름많음보령 19.0℃
  • 구름조금부여 15.3℃
  • 맑음금산 19.0℃
  • 구름많음강진군 18.1℃
  • 구름조금경주시 17.9℃
  • 구름조금거제 16.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09.16 19:52:58
  • 최종수정2020.09.16 19:53:02
[충북일보] 쓰레기 대란이 예고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여기에 두 달 넘게 이어진 폭우에 태풍이 잇따라 전국적으로 바닷가와 호숫가를 떠도는 부유쓰레기도 엄청나다. 지역마다 처리에 애를 먹을 정도로 난감한 양이다.

충북도 다르지 않다. 가정배달과 포장주문 수요가 크게 늘면서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 유통업계가 친환경 제품을 도입하는 등 쓰레기 줄이기에 애쓰고는 있다. 하지만 급증하는 생활 쓰레기 배출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택배 배송 시 나오는 냉동, 냉장 식품 보관을 위한 아이스팩이나 충전재, 포장재 등이 대표적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생활폐기물의 일평균 발생량은 5천349t이다.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했다. 종이류는 687t에서 889t으로 23.9% 증가했다. 같은 기간 플라스틱과 비닐도 각각 15.5%, 11.1% 증가했다.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으로 대청호와 충주호에 발생한 부유쓰레기는 상상을 초월한다. 대청댐지사는 지난 7월 중순 장마로 옥천군 군북면 석호리와 추소리 대청호에 유입된 부유쓰레기를 1만1천㎥으로 집계했다. 추후 유입된 양까지 합치면 훨씬 많아진다. 충주호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충주호에서 부유 쓰레기 수거 작업은 8월 내내 이뤄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달 2일엔 중부권 폭우로 충주호에 캔, 스티로폼, 비닐류 등 생활 쓰레기와 풀, 나뭇가지 등 3만㎥의 부유물이 떠밀려 들어왔다.

태풍이나 폭우로 대량의 쓰레기가 발생하는 건 1년에 한 두 차례일 수 있다. 그렇다고 안일하게 생각하거나 대처할 일은 아니다. 코로나19 관련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생활 패턴이 완전히 바뀌었다. 시장이나 대형마트보다 온라인 쇼핑몰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포장지 발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분리 수거된 쓰레기봉투 속에는 폐 마스크와 비닐 포장대,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가 무분별하게 들어가 있다. 그게 현실이다. 일회용품 사용이 늘면서 자연스레 생활 쓰레기도 늘고 있는 모양새다. 문제는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배출되는 데 있다. 이렇게 별 생각 없이 분리배출 되지 않은 채 종량제 봉투에 들어간 쓰레기들이 많아지면서 골칫덩이가 되고 있다. 수집된 생활쓰레기는 모두 소각이나 매립 처리되는 게 아니다. 법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면 반드시 골라내 재활용하는 게 우선이다. 가정에서부터 철저한 분리가 이뤄져야 처리가 쉽다. 임시로 야적된 호수 내 부유쓰레기는 분리배출이 이뤄진 일반 쓰레기가 아니다.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다. 평소 생활쓰레기 배출을 줄이려는 생활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

국내에서 쓰레기 종량제는 1995년 시행됐다. 2002년에는 '분리배출 표시 제도에 관한 지침' 발표와 함께 분리배출이 의무화됐다. 이후 분리배출과 방법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무수한 교육과 안내가 이뤄졌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분리배출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류는 라벨과 뚜껑, 안에 있는 이물질·물기까지 제거해야 한다. 유색과 투명도 분리해 버려야 한다. 비닐류도 분리가 가능한 비닐과 폐비닐을 분류해 버려야 한다. 그러나 대다수는 이런 지침을 지키지 않은 채 버리고 있다. 환경부는 올해 말까지 지자체 40곳이 생활쓰레기 처리 한도를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충북도 처리용량이 괜찮다고 방심하면 안 된다. 쓰레기 처리장의 경우 혐오시설이라는 점 때문에 무작정 늘리기도 어렵다. 실례로 청주시도 쓰레기 매립장이나 소각장 건설과 관련해 애를 먹고 있다. 늘어나는 쓰레기의 양을 감당하기 위한 대안을 미리 생각해야 할 때다. 쓰레기 대란은 이미 진행 중이다. 이제라도 올바른 분리수거 법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부와 기업만이 참여해서 될 일이 아니다. 전 국민 모두 쓰레기 줄이기에 열성적으로 동참해야 한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하는 주체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일회용품 사용량을 줄이고, 생태계 보호에도 앞장설 수 있다. 별다른 대책 없이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안 된다. 친환경 탑을 쌓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무너지는 건 순식간이다. 애써 쌓은 공든 탑을 무너지게 놔둬선 안 된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공동 대선주자 릴레이인터뷰 ①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충북일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조기대선'에 여야 후보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은 조기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검증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본보와 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방식은 서면질의서를 보내 답변서를 받고, 후보 일정을 조율해 순서대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번째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김두관 전 의원을 만나 출마 배경과 비전을 들었다. 본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inews365.com/)에서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대선에 출마하게 된 계기와 희망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에서 '12·3 계엄'으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시한번 대한민국을 뛰게 만들고 싶다. 12·3 계엄 그리고 파면 이 과정을 '87체제'의 종식이라고 본다. 새로운 7공화국을 여는 그런 중대한 시기에 시대에 맞는 법령과 제도를 만드는 게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권력 구조만 본다면 4년 중임제 분권형 개헌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고, 또 개헌을 통해서 새로운 공화국의 비전을 보여줘야만 중도층이 우리 민주당을 지지하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