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8.2℃
  • 구름많음강릉 14.9℃
  • 흐림서울 19.3℃
  • 구름많음충주 24.6℃
  • 흐림서산 16.4℃
  • 구름조금청주 25.9℃
  • 구름많음대전 25.6℃
  • 구름많음추풍령 23.4℃
  • 구름많음대구 25.3℃
  • 구름많음울산 23.7℃
  • 구름많음광주 23.6℃
  • 흐림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22.5℃
  • 흐림홍성(예) 20.4℃
  • 구름많음제주 18.9℃
  • 구름많음고산 20.5℃
  • 흐림강화 14.7℃
  • 구름많음제천 22.0℃
  • 구름조금보은 24.5℃
  • 구름많음천안 24.3℃
  • 구름많음보령 19.7℃
  • 구름많음부여 24.4℃
  • 구름많음금산 26.1℃
  • 구름조금강진군 21.6℃
  • 구름많음경주시 26.4℃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비싼 주택 '수도권·세종'과 '나머지 지방'으로 양극화

가구수보다 상위 20% 비율 높은 곳 비수도권선 세종 뿐
10년 사이 수도권과 지방 간 주택 가격 차이 더 벌어져
주거 환경은 지방이 좋아…저소득층·20대 이하는 악화

  • 웹출고시간2020.04.26 14:54:27
  • 최종수정2020.04.26 14:54:27

단위면적 기준 상위 20% 비싼 주택이 가구 수 비율보다 높은 곳은 지방 14개 시·도 중에서는 세종 뿐인 것으로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4월 24일 오후 반곡동 국책연구단지 앞에서 금강 서쪽으로 바라보고 찍은 세종 신도시 모습이다.

ⓒ 최준호기자
[충북일보] 단위면적 기준 상위 20% 비싼 주택이 가구 수 비율보다 높은 곳은 지방 14개 시·도 중에서는 세종 뿐인 것으로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10년 사이 수도권과 비수도권(지방) 사이의 집값 차이는 더 커졌고, 고시원처럼 주거 환경이 나쁜 집에 사는 20대 이하 가구주 비율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 조윤지 연구원이 작성해 최근 공개한 연구 보고서 '주거 실태 조사를 통해 본 최근 10년간 주거 양극화 추이'에 실린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주택 가격

조 연구원은 국토교통부가 매년 발표하는 '주거실태 조사 결과 보고서' 에서 자가(自家·임대 제외)주택을 소유한 상·하위 각 20% 가구를 기준으로 2008년과 2018년의 주요 통계를 비교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세종시가 출범(2012년 7월)하기 전인 2008년 당시 단위면적(㎡)당 가격이 비싼 상위 20% 주택은 전체의 94.7%가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 있었다.

특히 지방 모든 시·도는 전국에서 차지하는 가구 수보다 상위 20% 주택 비율이 더 낮았다.

예컨대 국내 2위 대도시인 부산은 당시 가구 수는 6.9%인 반면 비싼 주택 비율은 0.8%에 불과했다.

이런 가운데 2018년 들어 수도권의 상위 20% 주택 비율은 80.3%로 크게 떨어졌다.
ⓒ 국토연구원 조윤지 연구원
반면 강원만 0.5%에서 0.3%로 낮아졌을 뿐 지방의 다른 시·도는 모두 비싼 주택 비율이 높아졌다. 하지만 가구 수보다 비싼 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은 지방에서는 세종(0.1%p) 뿐이었다.

또 경기와 제주를 제외한 7개 도 지역은 하위 20% 주택 수가 가구 수 비율보다 더 높았다.

가격이 싼 주택이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지난 10년 사이 수도권과 지방 간의 고가와 저가 주택 가격 차이는 더 커졌다.

상위 20%의 경우 2008년 4억8천730만 원(수도권 7억1천220만 원, 지방 2억2천490만 원)에서 2018년에는 5억202만 원(수도권 9억2천808만 원, 지방 4억2천606만 원)으로 벌어졌다.

같은 기간 하위 20%도 7천204만 원(수도권 9천108만 원, 지방 1천904만 원)에서 7천397만 원(수도권 1억2천710만 원, 지방 5천313만 원)으로 커졌다.
ⓒ 국토연구원 조윤지 연구원
◇주거 환경

전국적으로 가구 당 평균 주거면적이 좁아지고 있는 가운데, 집값은 수도권이 비싸지만 주거환경은 지방이 수도권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적 기준 하위 20% 주택의 2008년 평균면적은 지방(34.3㎡)이 수도권(30.8㎡)보다 3.5㎡ 넓었다. 2018년에는 격차가 6.4㎡(지방 30.9㎡, 수도권 24.5㎡)로 커졌다.
ⓒ 국토연구원 조윤지 연구원
특히 상위 20% 주택의 경우 지난 10년 사이 지방이 수도권보다 더 넓어졌다.

2008년에는 수도권(115.6㎡)이 지방(111.8㎡)보다 3.8㎡ 넓었으나, 2018년에는 지방(110.0㎡)이 수도권(104.5㎡)을 5.5㎡ 추월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1인당 주거면적 하위 20% 비율도 52.3%에서 61.4%로 높아졌다.

지난 10년 사이 저소득층과 20대 이하 젊은층 가구주의 주거 환경은 더 나빠진 것으로 밝혀졌다.
ⓒ 국토연구원 조윤지 연구원
주거면적 하위 20% 가구의 거주지 유형이 아파트는 22.9%에서 15.5%, 단독은 58.3%에서 51.0%로 줄었다. 반면 고시원 등 주택 이외 거처는 0.7%에서 9.4%, 상가 등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은 1.8%에서 3.3%로 늘었다.

하위 20% 가구의 20대 이하 가구주 비율도 2008년 12.2%에서 2018년에는 26.7%로 크게 높아졌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 연구원은 "하위 20%에서 주택 이외 거처 가구나 20대 이하 가구주 비중이 늘면 주거 취약계층이 고착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종 / 최준호 기자 choijh5959@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③김동연 경기도지사

[충북일보] 김동연 경기지사는 "'당당한 경제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이 기울어진 경선 룰을 확정했지만 국민과 당원만 바라보고 당당히 경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아닌 '어대국'(어차피 대통령은 국민)을 강조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국회·입법·사법부를 세종·충청으로 이전하고 대통령 임기 단축의 지방분권형 개헌과 50조 슈퍼 추경을 통해 국민통합을 이뤄야 한다고도 했다. ◇6·3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지금 국민들이 요구하는 시대정신은 '경제'와 '통합'이라고 생각한다. 민생경제의 위기에 더해 정치권에서 촉발된 분열과 적대의 골은 점차 깊어지고 있다. 내란과 탄핵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다. 이념에 휘둘리지 않는 정책과 확고한 비전, 실행력으로 경제위기 속에서 중심을 잡고 재도약을 이룰 리더십이 절실하다. 국민통합을 위해서는 정치개혁이 필수다. 다음 대통령은 임기 단축이라는 희생을 결단하고, 동시에 일관된 비전과 정책으로 대통령직을 수행해 국민통합의 마중물이 되고, 새로운 대한민국의 문을 열어야 한다." ◇김동연 후보의 강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