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9.9℃
  • 맑음강릉 -3.8℃
  • 맑음서울 -5.9℃
  • 맑음충주 -9.8℃
  • 맑음서산 -9.2℃
  • 맑음청주 -5.6℃
  • 맑음대전 -6.2℃
  • 맑음추풍령 -6.6℃
  • 맑음대구 -4.2℃
  • 맑음울산 -4.5℃
  • 구름조금광주 -3.7℃
  • 맑음부산 -4.0℃
  • 구름많음고창 -4.4℃
  • 맑음홍성(예) -8.4℃
  • 흐림제주 2.4℃
  • 흐림고산 2.3℃
  • 맑음강화 -7.3℃
  • 맑음제천 -12.4℃
  • 맑음보은 -9.4℃
  • 맑음천안 -9.9℃
  • 구름많음보령 -5.3℃
  • 맑음부여 -7.8℃
  • 맑음금산 -9.5℃
  • 구름많음강진군 -1.1℃
  • 맑음경주시 -4.6℃
  • 맑음거제 -2.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국내 최초 세종시 '우리말 이름 짓기' 어떻게 돼 가나

행정구역,도로,학교 등 5가지 시설에 1천 66건 마무리
최근엔 추진 주춤…민간 아파트엔 영어식 이름 많아

  • 웹출고시간2012.10.09 18:26:1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세종시내 다리 가운데 가장 먼저 우리말식 이름 '한두리대교'로 개명된 금강2교의 야경.바로 앞에 첫마을아파트가 보인다.

ⓒ 세종시 제공
첫마을아파트,한두리대교,참샘초등학교,다솜로….

최근 각종 아파트와 정부청사 건물이 잇달아 들어서고 있는 세종시(신도시)에 들어서면 만날 수 있는 정겨운 이름들이다.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과 관련이 있는 도시 이름에 걸맞게 최민호 전 행복도시건설청장이 지난해부터 추진한 '행정구역 및 주요 시설물 우리말로 이름 짓기'를 한 결과다.

◇1천66건 새 이름 마무리=우리말 이름 짓기 대상은 △행정구역 △마을 △도로 △학교 △기타 주요 시설 등 5가지다. 9일 행복도시건설청에 따르면 이날까지 세종시내에서 우리말로 지어진 이름은 모두 1천66건이다. 행복청은 세종시 역사에 길이 남을 이름을 신중히 짓기 위해 지난해 명칭제정자문위원회(위원장 한글문화원 장송현)를 구성·운영했다. 그리고 용역 연구진(충남대 산학협력단)이 제안한 주요 명칭을 대상으로 '국민 선호도 조사 및 국민 공모'도 거쳤다.

행복청 방침에 호응,세종시도 최근 새로 생기는 도로 이름을 잇달아 우리말로 짓고 있다. 시가 최근 고시한 정부세종청사 지역 주요 도로 이름은 △다솜1~3로 △도움 1~8로 △어울로 등이다. 이들 이름은 뜻풀이도 재미있다. '다솜'은 사랑의 옛말이다. '도움로'에는 국민에게 도움을 주는 행정기관의 상징성이 반영됐다고 한다. '어울로'는 '어우르다'의 옛말인 '어울다'를 활용해서 지은 것이다.

세종시내의 주요 우리말 이름 도로들.

ⓒ 행복도시건설청 제공
◇과제=하지만 이 시책은 최민호 청장이 퇴임한 뒤 추진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신도시 건설 현장과 직접 관련이 있는 행복청 공무원이나 LH 직원 등도 기존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다. 새로운 우리말 이름을 쓰려면 번거롭고 생소하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업체들은 오히려 정부와 반대 반향으로 가는 느낌이다. LH가 시범 건설한 첫마을 외엔 대부분 영어식 이름이다.

'**스타클래스' '**휴플러스' '더리치***' '**에듀시티' 등 영어에 서툰 노인들은 집 찾기도 어려울 것이 많다.

우리말 이름 짓기가 최근의 '국제화' 추세에 걸맞지 않다고 기적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부임인 이재홍 행복도시건설청장은 "이미 정해진 세종시의 우리말 이름을 최대한 이용해 국민들에게 널리 홍보되도록 하라"고 행복청 전 직원에게 지시했다.

세종/최준호기자 choijh5959@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최복수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제2의 도약에 모든 역량 쏟겠다"

[충북일보]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2025년 을사년(乙巳年)을 제2의 도약의 해로 삼았다. 주요 현안은 결실을 맺도록 차질 없이 추진하고 혁신 사업 모델을 발굴하는 데 힘쓴다.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통해 지역경제 성장을 이끄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경자구역이 경쟁력을 갖추는데 모든 역량을 쏟아 붓는다. 새해 첫 날 최복수 4대 충북경자청장이 취임 일성으로 '도약'을 강조한 것도 이 같은 과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최 청장으로부터 경자구역이 새로운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비전과 나아갈 방향, 미래 전략 사업 등에 대해 들어봤다. ◇취임한 지 한 달 반이 지났는데 소감은. "지난 1월 1일 청장으로 취임한 후 한 달이 빠르게 지나버렸다. 먼저 공무원으로 다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충북과 고향에 깊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다. 그동안 내부 조직과 주요 현안 사업들을 꼼꼼히 점검하고, 길었던 청장 부재 기간을 겪은 조직의 안정과 대외 신뢰 회복에 중점을 뒀다. 이를 위해 직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청렴 서약식도 개최했다. 경제자유구역청의 기본적인 역할은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려는 꿈과 희망을 품고 이를 하나하나 실현해 나가는 데 있다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