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7.5℃
  • 맑음강릉 18.4℃
  • 맑음서울 10.8℃
  • 맑음충주 7.5℃
  • 맑음서산 10.5℃
  • 맑음청주 12.3℃
  • 맑음대전 10.0℃
  • 맑음추풍령 5.4℃
  • 맑음대구 12.3℃
  • 맑음울산 10.1℃
  • 맑음광주 12.0℃
  • 맑음부산 12.6℃
  • 맑음고창 10.2℃
  • 맑음홍성(예) 7.3℃
  • 구름조금제주 13.3℃
  • 구름조금고산 10.8℃
  • 맑음강화 8.6℃
  • 맑음제천 4.9℃
  • 맑음보은 6.4℃
  • 맑음천안 6.2℃
  • 맑음보령 12.1℃
  • 맑음부여 6.3℃
  • 맑음금산 6.7℃
  • 맑음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8.5℃
  • 맑음거제 10.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음산한 날씨, 4월이지만 초겨울 날씨처럼 우박이 내리거나 비가 계속 내리는 날씨는 어쩌면 농부의 마음같은지 모르겠다.

계속되는 이상기온으로 일조량이 부족해서 대다수의 시설작물을 하는 농가에서는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한다. 3월에 심어놓은 감자도 싹이 여느때보다 더디게 올라오는거 같다. 감자싹이 올라오니 비닐에 구멍을 뚫어주어야 할텐데 비가 온다. 농부는 비를 맞고 감자심은 밭에 들어가 감자싹이 숨트일 구멍을 뚫어주는데 손이 시리다고 했다.

작년부터 이상기후로 인해 농업이 훨씬 더 힘들다. 가을걷이를 하고 계속 비가 와서 논에 볏짚을 못 거두어 들이고 모내기를 시작할 계절인 4월까지 시도 때도 없이 비가 와서 논에 물마를 새가 없었고 가축을 키우는 농가에서는 짚을 거두어 들이지 못해 사놓은 볏짚들을 그냥 태워야 했다. 미리 볏짚 값을 다 치르고 볏짚을 사놓은 거라서 손해는 고스란히 축산농가의 몫이다. 모내기 철이 되니 논 주인들이 물을 대기 위해서 볏짚을 정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베일러 작업(볏짚 묶는일)을 하는 우리도 손해를 많이 보았다.

유명한 라디오프로를 들으니 이상기온인 날씨 덕분에 과수농가는 일조량 부족으로 과일이 열매를 맺지 못하고 과일의 색깔이 좋지 않아 상품가치가 떨어져서 판매를 할 수가 없다고 한다. 과수농원을 하는 젊은 부부의 사연으로, 아이들 급식비와 학원비가 밀려있고 , 농업에 들어가는 인건비는 고사하고 재료비조차 건지지 못해서 성실하게 농사를 짓던 젊은 부부는 생활고로 인해 우울증에 시달리고 신용불량자가 될거 같다는 슬픈 사연이 전해졌다. 농업이 어렵다고 생각하여 젊은부부들이 농촌을 떠나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경제는 몇%성장했다고 하는데 농업분야는 여전히 어려운게 현실이다. 농업분야에 종사하건 도시생활을 하는 사람들이건 생활에 필요한 비용은 누구나 들어가게 마련이다. 농부의 아이들도 학교에 다녀야 하고 학원에도 다녀야 한다. 날씨가 도와주지 않으니 농사를 망치고 농사를 망치니 농부는 훵한 밭과 논을 쳐다보며 애꿎은 줄담배만 피울 뿐이다.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자연은 그 답을 알고 있는듯이 서서히 속으로 부글부글 애끓던 심정을 보여주기라도 하듯이 세계곳곳에서 자연재해가 일어나고 있다. 정말 영화처럼 2012년에 지구의 종말이 오는 것처럼 생각하게 하는 요즘의 날씨에도 농부는 한해 농사를 부지런히 준비한다. 농부는 작년에 농사가 대풍들었다고 크게 열광하지도 않고 올해 농사를 망쳤다고 크게 실망하지도 않는다.

가끔은 도시생활하는 친구들이나 다른 일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이 농담인지 진담인지 이런말을 한다.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 농사를 뭐하러 힘들게 짓느냐~!""돈도 안되는 농사를 하느라 진땀빼느냐"고 할때도 농부는 묵묵히 농사지을 땅이 있으니 농사일에 열중할 뿐이다. 농부와 자연은 하나인것이다.

농부는 자연의 힘을 빌어 새로운 생명을 키워내고 자연과 교감한 열매인 채소, 과일, 곡식들은 우리의 식탁을 풍성하게 해준다. 사과나무 꽃이 피어나고 , 복숭아나무의 꽃이 망울을 터트린다. 이제는 농업도 양보다 질로 승부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과거의 농업은 배고픔을 해소하기 위한 먹거리로서 양이 많으면 좋았지만, 먹거리가 풍성해진 현재에는 질이 좋은 농산물이 더 잘 팔려나가는 세상으로 변해가는 것이다. 농부는 땅을 일구고 생명의 씨앗을 일구고 우리의 대 자연은 우주삼라만상의 순리적인 질서를 통해 품질좋은 채소, 과일, 곡식을 풍성하게 키워내는 것이다.

농부는 땅을 존중하는 농사 방법을 실천하고 , 자연은 우리에게 햇빛, 바람, 물을 통해 보다 더 큰 자연의 힘을 베풀어 끈임없이 우리에게 새로운 생명의 생성과 소멸을 돕는 것이다. 농부의 성실한 삶이 우리를 키워내고 우리의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자연의 조화로운 삶을 실천하는 삶인 것이다. 올해도 농부의 마음처럼 정성을 다해 심은데로 거두는 한해가 되기를 소망해 본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