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본관 앞에 3층 높이쯤 되는 소나무가 서 있다. 인근 학교에 있던 수형이 좋고 수령도 오래된 나무인데, 학교 건물 신축 공사가 진행되는 바람에 우리 학교로 옮긴 나무다. 가끔씩 교장실 창을 통해 밖을 바라볼 때마다 풍경을 가꾸어주고 있어 옮기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곤 했다.
겨울방학을 마치고 개학하는 날 아침, 문득 바라보니 나무 꼭대기 근처에 까치 두 마리가 분주하다. 서로 뭐라뭐라 지껄이며 가지를 이리저리 옮겨 다니고 있었다. 드물지 않은 풍경이라 그러려니 하면서, 개학식과 입학식을 위해 강당으로 걸음을 옮겼다. 점심을 먹고, 춘설이 내리는 창밖으로 시선을 돌렸다. 날이 풀려서인지 눈은 내리면서 녹고 있었다. 그래도 봄 풍경으로 바라보기엔 넉넉했다. 아침에 본 그 녀석들인지 까치 두 마리가 다시 눈에 들어왔다. 이번에는 아까와는 다르게 바닥에 내려와 입에 나뭇가지를 물고 번갈아 가며 저 꼭대기까지 나르느라 바쁘다. 고개를 들어 위쪽을 바라보았다. 집을 짓고 있는 듯했다. 그것도 이제 막 기초공사를 시작한 듯했다. 나뭇가지로 보이는 서너 개가 소나무 가지 사이로 걸쳐져 있다. 거기에 새로 물어온 가지를 위에 올려놓는 작업을 하는 듯했다.
높다랗게 걸린 까치집이야 흔한 데다 많이 보아왔지만, 가치 두 마리가 서로 도와가면서 실제로 집을 짓는 광경은 접하기 쉬운 장면이 아니어서 한참을 올려보고 있었다. 작업 난이도가 높은 것인지, 진도가 잘 나가지 않는 듯했다. 아래에서 물고 올라온 나뭇가지를 이리저리 걸쳐보다가, 아뿔싸 그러다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가지도 여럿이다. 그러면 아래 바닥까지 내려와 다시 그것을 입에 물고 위쪽으로 옮긴다. 높은 곳까지 수도 없이 오르내리느라 체력이 많이 필요해 보였다. 나도 내 할 일이 있어 한참 동안 몰두하다가 다시 나무를 올려다보니, 이번에는 까치가 보이지 않았다. 바람에 날아갔는지 짓고 있던 곳도 허전하다. 이러다 아예 집터를 옯기는 것은 아닐까 괜한 안스러움이 생겨났지만 다행히 그건 아닌 듯했다. 휴식도 필요할 것이다.
관심은 끊어지지 않았다. 입학식이 있는 날부터 짓기 시작한 터라 더 관심이 가는 듯했다. 그렇게 하루하루 틈틈이 바라볼 때마다 다른 곳에서 물고 오거나 아래에 떨어진 가지를 올리느라 분주한 가운데 집은 제법 두툼해지고 있었다. 짓기 시작한 초기의 어려움을 거쳐내고 꾸준하게 집을 완성해 가는 모습이 대견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집짓기를 시작한 지 보름 가량 지났을 땐 촘촘하게 쌓은 그럴듯한 까치집이 완성되어 있었다. 작지 않은 덩치가 소나무 가지 사이에 안정적으로 놓인 모습이 그 녀석들 참 실력 좋구만 하고 끄덕이게 만들었다. 이제 아래쪽에서야 집 안에서 어떤 일이 진행되는지 보이지 않아도, 곧 알을 낳아 포란을 시작할 터이고, 몇 마리의 어린 까치를 부지런히 먹이며 키울 것이다. 올해 입학한 새내기들을 응원하듯, 저 까치들 역시 응원하지 않을 수 없다. 또 있다. 현관 바로 앞 가지가 제법 우거진 반송에는 비둘기가 벌써 집을 짓고 포란을 하고 있다. 새학기 시작하며 응원할 일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