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자구역 확대 지정 '본격화'…올해 말 신청 목표

2025.04.27 15:52:14

청주국제공항 인근 에어로폴리스 지구 위치도.

[충북일보] 국내 바이오산업 중심지인 오송과 청주국제공항 주변에 지정된 충북경제자유구역 확대가 본격화하고 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기본구상이 세워짐에 따라 올해 내 신청을 목표로 준비에 공을 들이고 있다.

27일 충북경자청에 따르면 '경자구역 확대 지정 승인' 용역을 맡아 진행할 전문기관 선정에 착수했다.

다음 달 업체를 선정한 뒤 6월 중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다. 경제자유구역법령 등 관련법에서 요구하는 지정 요건과 필요한 사항을 포함하는 개발 및 실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계획에는 재원 조달, 외국인 정주 여건 마련을 위한 발전 방안, 산업 유치 등이 담긴다. 확대 면적을 확정하고 토지 이용 방안도 수립한다.

국내외 기업의 입주 수요와 외국인 정주 환경 확보, 개발 경제성, 기반 시설 등 지정 요건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충북경자청은 용역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오는 12월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자구역 확대를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용역은 내년 12월까지 진행해 확대 지정에 성공할 때까지 준비 작업에 완벽을 기하기로 했다.

경자구역 확대는 다수의 기업이 입주를 희망하는데다 항공정비(MRO) 산업 육성을 위해 추가 지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존 경자구역인 오송 바이오메디컬과 바이오폴리스지구는 분양이 완료된 상태다. 에어로폴리스 3지구는 항공정비단지 조성 등을 위해 경자구역으로 지정받아야 한다.

세제 감면이나 규제 완화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글로벌 기업 유치에 유리하다는 이유도 있다.

앞서 충북경자청은 지난해부터 확대 지정을 준비해왔다. 올해 1월에는 '충북경자구역 확대 기본구상 및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마쳤다.

용역을 수행한 충북연구원은 다른 지역 확대 사례, 충북경자구역 여건과 발전 잠재력, 국내외 기업의 입주 수요 등을 분석해 추진 배경과 필요성에 대한 논리를 개발했다.

개발 수요 타당성과 기업 입주 여건,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 등도 검토하고 경자구역 지정 가능성과 요건 적합성 등을 확인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친 뒤 충북경자구역 확대가 가능한 지역을 확정했다. 추가 지정은 단기와 중장기로 나눠 진행할 계획이다.

먼저 4개 지구 323만9천669㎡(98만 평)의 경자구역 지정을 추진한다. 대상은 조성 공사가 한창인 오송 화장품산업단지(24만 평)·바이오산업단지(8만 평)·청주오스코(6만 평)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가 구축되는 오창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60만 평)이다.

오송 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와 청주 에어로폴리스 3지구는 장기 과제로 정해 경자구역을 지정받기로 했다. 규모는 525만6천198㎡(159만 평)이다.

충북경자청과 충북도는 청주공항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주변 지역도 경자구역 지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도는 최근 확정한 21대 대선 공약 건의과제에 이를 반영했다. 민간 활주로 건설이 현실화하면 경자구역 지정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현재 도는 사활을 걸고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달 초 국토교통부의 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0년)에 반영을 요청하는 제안서를 한국교통연구원에 제출했다.

'청주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 추진 민·관·정 공동위원회'와 함께 오는 6월 말까지 주민 서명운동을 전개한다.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후보지는 청주 에어로폴리스 3지구 일대가 낙점된 상태다. 기존 활주로에서 북서쪽으로 1.86㎞ 가량 떨어진 곳이다. 대형 화물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3천200m 길이의 활주로를 신설한다는 구상이다.

새 활주로와 현 공항의 여객터미널 등 부대시설을 도로로 연결하면 전체 사업비는 1조5천억 원 정도로 추산된다.

충북경자청 관계자는 "경자구역 확대를 위한 기본구상이 끝남에 따라 우선 4개 지구를 지정받기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며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천영준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