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이 다시 쟁점화 되고 있다. 충북도는 최근 정부에 청주공항 활성화 대책을 요구했다. 앞으로 나올 용역 결과가 정부 설득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 활주로 신설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지는 벌써 오래됐다. 지난 19일 열린 청주공항 활성화 국회 토론회에서도 중심 의제로 다뤄졌다. 충청권 여야 의원들이 참석하면서 힘이 실리고 있다.
청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458만 명에 육박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1년 만에 23.9%(88만 3천400여 명) 증가다. 전국 공항 중 5위다. 청주공항의 성장세는 이토록 놀랍다. 이 대로 가면 연간 600만 명 시대 개막은 그저 시간문제로 보인다. 국제선 이용객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지난 1997년 개항 후 꾸준하게 늘어나다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146만 8천600명까지 늘었다. 그런데 청주공항 슬롯(공항 이착륙 횟수)은 시간당 7~8회에 불과하다. 김해공항이나 군산공항의 경우 20회 안팎이다. 주기장, 탑승교 부족 등도 걱정거리다. 폭발적인 항공 수요에도 인프라 개선이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다. 특히 활주로가 문제다. 현재 길이 2744m 활주로 2개가 전부다. 그나마 그중 하나는 군(軍) 전용이다. 나머지 1개는 민간과 군이 나눠 쓰고 있다. 이마저도 길이가 짧아 중·대형 항공기 이착륙이 제한적이다. 이런 저런 사정을 감안할 때 청주공항 민간 활주로 신설은 꼭 이뤄져야 한다. 국가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정부가 먼저 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반영하는 게 순서다. 민간 전용 활주로가 신설되면 먼저 1천400만 충청권·수도권 남부 주민들에게 편리하다. 우수한 각종 항공교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청주공항 활성화는 무엇보다 충청권 메가시티의 성공적 안착에 도움이 된다. 동시에 국가 균형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 수도권 공항 포화 문제 해소와 유사시 대체공항 기능 수행 등의 효과도 기대된다. 물류·관광·산업·국제교류를 촉진해 국가 발전에도 유리하다. 인천국제공항의 연간 화물 처리 능력은 2040년 포화상태에 달한다고 한다. 항공물류가 한곳에 집중되면서 물류비와 운송 시간이 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예상치 못한 사고 발생 시 항공물류가 마비될 수도 있다. 청주공항은 국토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인천공항의 예비공항 역할과 함께 물류비, 운송 시간 절감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충청권이 여야와 지역을 초월한 협력을 이어가는 이유도 여기 있다. 충청권은 지난해 4개 광역단체장이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전국 지방의회 차원에서도 신설 건의안을 채택했다. 충청권 국회의원들도 다르지 않다. 이번 국회 토론회에도 민간전용 활주로 신설의 필요성을 적극 논의했다. 정부 차원의 지원을 촉구하는 단합된 목소리도 냈다. 청주공항은 중부권 거점공항과 수도권 대체공항 역할을 다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활주로와 주기장 등 제반 시설로는 역부족이다. 청주공항의 활성화는 충청권 전체의 성장과 직결된다.
주민들도 한계에 달했다. 청주공항 활성화를 가로막는 군부대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청주공항은 허울이 아닌 진정한 중부권 거점공항이자 행정수도 관문 공항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러기 위해 정부의 과감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그 첫 번째가 민간 전용 활주로 신설이다.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