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촛불행동과 충북민주연합회원들이 12일 충북도청 서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 수괴, 윤석열 대통령 즉각 체포와 탄핵'을 촉구하고 있다.
ⓒ김용수기자
[충북일보] 12일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와 관련 충북지역 야권과 시민단체 등이 내란범죄 자백일뿐이라며 즉각적인 탄핵을 촉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은 이날 "윤석열의 대국민 담화는 헌법과 법치를 송두리째 부정한 내란 범죄의 자백과 다름없다"고 비난했다.
충북도당은 이날 성명을 내 "광기 어린 그의 담화에는 국민에 대한 사과가 아니라 헌법을 유린하고 내란 범죄를 정당화하려는 반헌법적 망언으로 가득했다"고 혹평했다.
또 "뻔뻔한 내란 범죄 자백은 즉각적인 탄핵과 체포의 필요성만 더할 뿐"이라며 "윤석열의 심리적 상태가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한시라도 수행하면 안 된다는 것이 명확히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충북도당은 "불법 계엄 이후 대통령으로서의 자격을 상실한 것은 물론이고 국민과 대한민국까지 회복 불가능한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며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질서 있는 퇴진의 길은 신속한 탄핵 밖에 없음이 다시 한 번 증명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충북 국회의원들에게 윤석열 대통령의 2차 탄핵소추안 표결 찬성을 촉구했다.
충북도당은 "박덕흠·이종배·엄태영 의원은 언제까지 내란수괴의 편에 서서 국민을 등지려 하는가"라고 질타하면서 "지금 당장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히고 14일 예정된 표결에 책임지는 자세로 참여할 것을 충북도민에게 약속하라"고 말했다.
이어 "계속해서 내란 범죄를 용납하고 국회의 탄핵을 방해한다면 내란 부역자로 영원히 역사에 기록되고 충북도민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충북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충북시국회의도 이날 논평을 통해 "윤석열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국민과 끝까지 싸우려는 모습을 보였다"며 주장했다.
이어 "위헌계엄과 내란이라는 광란의 칼춤을 추는 자는 윤석열 본인"이라며 "이제는 탄핵도 아깝다. 지금 당장 내란범 윤석열을 체포하고 수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국민의힘 충북도당 앞에 근조화환을 설치하고 도당 입구에 '내란의힘', '국민의적'이라는 문구가 적힌 인쇄물을 붙이며 국민의힘 의원을 강하게 규탄하기도 했다.
또 청주촛불행동과 충북민사모(민주당을 사랑하는 모임)는 이날 오후 충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내란 수괴, 윤석열 대통령 즉각 체포와 탄핵하라"고 촉구했다.
단체는 "내란 수괴 윤석열을 체포·탄핵해야 한다"며 "1차 탄핵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 이종배·엄태영·박덕흠 의원이 다시 표결에 불참하면 낙선운동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충북대비상시국회의에 이어 충북대학교 교수회도 이날 시국 선언문을 통해 "헌법과 민주주의를 유린한 윤석열은 즉각 국민 앞에 사죄하고 퇴진하라"고 촉구했다.
충북대 교수회는 "윤석열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에 의해 부여된 국회의 권한행사를 빌미로 헌법 77조에 규정된 계엄권을 행사했다"며 "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대통령의 권한을 무시하고 국회 기능을 무력화했으며 삼권분립의 대원칙을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군부독재와 개발독재시대의 암흑기를 극복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국가로 도약해 온 대한민국은 헌법파괴자인 윤 대통령에 의해 그간 쌓아 올린 모든 것들이 한순간에 무너졌다"고도 했다.
충북대 교수회는 "국민의 분노와 강력한 퇴진 요구에도 윤 대통령은 용산 집무실에 숨어 반전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며 "윤 대통령은 이제 더 이상 국민이 주인인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아니며 그저 내란 행위를 주도한 대한민국을 파괴하려는 자에 불과하다"고 깎아내렸다.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충북대 사회학과 학생회와 충북대(개신) 교지편집위원회 등으로 구성된 '윤석열 퇴진을 위한 충북대 학생공동행동'은 13일 오후 6시 30분 개신문화관 지하광장, 14일 오후 4시 충북도청 서문, 21일(오전 출발) 서울 여의도 등 3차에 걸쳐 '행동의 날'을 진행을 예고했다.
충북대 학생공동행동은 "우리는 태어나 처음으로 경험하는 비상계엄에 일상이 무너지는 것을 경험했다"며 "행동하는 양심을 가진 우리는 윤석열의 즉각적인 퇴진을 촉구하며 국회 밖에서 거리의 정치를 만드는 사람들의 얼굴에 주목할 것"이라고 밝혔다. / 천영준·안혜주·임성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