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충북대교수회가 증평군의회에서 설명자료에 '통합 대상'에 증평캠퍼스 뿐만 아니라 충북도립대도 포함하면서 불거져 나오고 있다.
교수회가 장기적 관점의 통합 계획안을 제시한데 대해 충북대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충북대 교수회의 통합 주장에 '불가' 방침을 거듭해 온 교통대는 11일 6개 항목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충북대와의 통합의 불가성을 설명했다.
교통대는 △충북지역 국공립대 통합의 단계별 계획의 실현가능성 △교통대 정원감축의 사실유무 △증평캠퍼스가 활성화 가능한가 등 모두 6개 항을 조목조목 따졌다.
충북도립대도 "충북대 교수회가 법적으로 불가능하고, 생각해볼 가치도 없는 통합론을 제기해 대학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옥천지역에서는 도립대 구성원뿐만 아니라 주민의견 수렴없는 일방적인 통합 주장을 중단하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충북대 교수회의 이같은 통합론에 대해 교통대와 도립대까지 반발을 하면서 충북도내 대학들의 올해 최대 이슈가 '대학통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새해부터 대학통합과 관련한 문제가 이슈가 되자 충북도내 대학가에서는 윤여표 충북대 총장이 직접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윤 총장이 교통대와 도립대 총장을 만나 통합 관련 입장을 분명하고, 논란을 종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통대 관계자는 "윤 총장이 직접 나서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며 "이번 사태를 윤 총장이 책임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립대 관계자도 "각 대학 총장이 만나 통합을 놓고 입장을 정리하면 이 같은 오해와 갈등도 없을 것이 아니냐"며 윤 총장이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대 교수회 관계자는 "충북대 발전계획은 충북대가 만든다. 교통대서 관여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1도1국립대를 위해 교통대와 통합후 도립대와 통합추진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통대와 증평캠퍼스와의 통합은 충북대가 원한 것이 아니라 교통대 측에서 원해서 추진했던 것"이라며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도 충북대와의 통합을 바람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철·손근방·김병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