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여성안심귀가' 서비스 - 충북형 안전 모델

2016년 본격 시행… 8억5천만원 투입 예상
충북여성인권상담소 "주민 참여 확대가 관건"

2015.07.30 19:05:39

[충북일보] 여성안심귀가 서비스를 도입한 충북의 사정은 열악하기만 하다. 8억5천만원 가량이 투입돼 내년 본격적인 서비스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인력, 예산 등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많다. 당장은 시스템을 정립하는 게 급선무다.

충북은 서울 등 수도권과 달리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환경이다. 도심지 귀갓길은 골목길이나 유흥가가 많은 곳에서 여성들은 위험을 느낀다. 특히 구도심의 경우 버스노선이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다고는 하지만, 외진 골목이 많다.

반대로 농촌지역은 마을 입구 버스 정류장에서 집까지 가는 거리가 멀고 인적이 드물다. 때문에 야간 자율학습 등을 마치고 귀가하는 상당수 학생들은 부모의 동행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국가가 책임져야할 공익적 차원의 치안을 개인적으로 해결하는 셈이다.

이마저 어려운 가정도 있다. 한부모 가정이나 조손 가정 등은 자구책마저 마련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충북도가 도입한 안심귀가서비스는 자율방범대를 활용한다. 그러나 야간 활동에는 대부분 남성들이 나선다. 여성대원들은 낮 시간 대 차량도우미나 교통지도 등이 사실상 전부다. 안심귀가서비스의 수혜자 입장에서 보면 여성대원이 투입되는 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여성방범대의 조직력자체가 미약하기 때문에 여성대원의 야간 활동에는 제약이 따른다.

◇ "마을 공동체 복원에 초점"

충북여성인권상담소 '늘봄'은 이번 시범운영을 통해 충북형 안전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자율방범대의 활성화가 우선돼야 한다. 현재로서는 지역별로 규모나 활동 범위가 제각각인 탓에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다.

충북여성인권상담소 '늘봄' 김성이 상담원이 여성안심귀가서비스의 도입 취지와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최범규 기자
김성이 늘봄 상담사는 "충북형 모델은 주민 참여형으로 정립돼야 한다"며 "자율방범대를 주축으로 주민들의 참여가 확대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들쭉날쭉 운영되는 부분이 많고, 지구대와의 공조에 있어서도 지역마다 큰 차이가 있어 치안 공백을 메우기가 쉽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문제를 마을 내부의 문제로 인식하고 접근,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안심귀가서비스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복원시키기 위한 하나의 화두이자 동기부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히 귀가를 돕는 소극적인 전달이 아니라 주관적인 불안감 등 마을 내부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고민해 자율적인 모델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상담사는 "현재 치안·방범 시스템은 지구대 중심으로 예편됐다"며 "절도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여성의 문제는 후순위로 밀려났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심야시간이나 공휴일 등 치안 공백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는 "치안은 경찰 즉, 국가의 담당이며 안심귀가서비스는 협업 차원에서의 주민 참여 활동으로 가야 한다"며 "시니어단 등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 자발적으로 서비스 공백을 메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김 상담사는 시범 운영 과정에서의 애로 사항에 대해서는 첫 번째로 홍보를 꼽았다.

그는 "현수막이나 버스 홍보에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며 "서비스를 주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의 협조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