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지난해 충북지역 학교가 부담한 전기요금은 총 277억 원으로 4년 전보다 6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백승아(비례) 의원이 공개한 '2020∼2024회계연도 학교 전기요금 부담 증감 현황'을 보면 지난해 충북지역 유치원과 초·중·고·특수학교가 부담한 전기요금은 277억 원으로 학교 운영비(6천318억 원) 중 4.39%를 차지했다.
연도별 전기요금은 △2020년 167억 원 △2021년 190억 원 △2022년 224억 원 △2023년 274억 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학교 운영비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4.27% △2021년 3.84% △2022년 4.21% △2023년 4.47%로 증가하며 학교 재정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이뤄졌던 2021년에는 학교 운영비에서 차지하는 전기요금 비중이 다소 감소했으나 대면 수업이 정상화되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국적인 상황도 다르지 않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공립 유치원, 공·사립 초·중·고·특수학교의 2024년 전기요금 부담은 총 7천260억 원으로 2020년 4천223억 원 대비 71.9% 급증했다.
시·도교육청별로는 제주가 5년 새 전기요금 부담 증감률이 85.4%로 가장 높았고 광주 83.6%, 세종 81.3%, 경기 79.3%, 부산 78.6% 순으로 전기요금 부담이 급증했다.
전국 학교 운영비 중 전기요금 비중은 △2020년 3.68% △2021년 3.57% △ 2022년부터 3.72% △2023년 4.06% △2024년 4.12%로 증가세를 보였다.
백 의원은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기준 전기요금 판매단가를 공개하며 교육용 인하 필요성을 주장했다.
kwh당 판매단가는 일반용 173.0원, 산업용 168.2원, 주택용 156.9원, 교육용 143.0원, 농사용 82.1원이다.
백 의원은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과 역대급 폭염,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사용에 따른 전력 사용량 급증 때문에 지방교육재정 악화와 학교 운영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교육계 숙원인 교육용 전기요금을 인하해달라는 지속적인 목소리에 대해 정부와 한전은 여전히 무관심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기요금 부담 증가에 따른 학교 재정 악화는 교육활동을 위축시키고 교육여건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며 "정부는 교육의 특수성과 공공성을 고려해 교육용 전기요금 단가를 농사용 수준으로 인하하라"고 촉구했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