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적으로 대형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산림과 인접 농경지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생태계 파괴는 물론, 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청주시 또한 넓은 산림 면적으로 인해 산불에 취약한 지역이 많아, 선제적인 예방 대책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므로 다음과 같은 대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강화를 들 수 있다. 농촌 지역에서는 고춧대, 깻대, 콩대 등 영농부산물 소각이 빠르고 비용이 안 든다는 이유로 파쇄나 수거 대신 불법 소각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는 산불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소각 과정에서 나오는 불씨가 강풍이 잦은 봄·가을철 시기에 대형 산불로 확산되는 경우가 많다.
청주시에서도 영농폐기물 파쇄 지원 및 파쇄기 대여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원 대상과 장비가 제한적이어서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산림과 인접한 농경지에서의 불법소각을 방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계도 및 단속과 농민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파쇄기 임대 및 인력지원을 확대하여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의 강화가 시급하다.
둘째, 기반 시설과 인적자원 역량 강화이다.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청주시 산림 내 임도는 30여 개에 불과하며, 그중 80% 이상이 상당구에 집중되어 있어 나머지 지역은 산불 대응에 취약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방 및 산림청과 협업하여 산불 진화에 최적화된 임도를 추가로 구축하고, 그 주변에는 소방용수 공급을 위한 관정, 불길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벽도 함께 조성하여 산림 내 기반 시설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후화된 산불 진화 헬기의 단계적 교체 역시 진화 효율성과 현장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해야 할 시급한 과제이다.
기반시설 확충만큼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도 중요하다. 현재 산불진화요원은 대부분 60대 이상의 장년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에 대한 이해는 높지만 디지털장비 활용에는 익숙하지 않으며 체력적인 부담 또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진화요원의 업무분담 및 실전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을 강화하고, 전문 인력을 채용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해야 한다.
셋째, 사방댐 설치 확대를 통한 2차 피해 예방이다. 산불로 산림이 훼손되면 지표면이 약화되어 장마철 집중호우 시 토사 유출 위험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크다. 이에 대비해 사방댐 설치를 확대함으로써 산불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추가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 현재 청주시 내에는 일부 지역에만 사방댐이 설치되어 있어 보다 적극적인 설치 확대와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결국 산불 대응의 핵심은 '예방'에 있다.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강화로 산불의 원인을 차단하고, 기반시설 확충으로 신속한 초기 진화 체계를 마련하며 사방댐 설치를 통해 2차 피해까지 대비하는 입체적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청주시가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산불 예방 대책을 마련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산림 자원을 지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