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진 채소값…장바구니 물가 '부담'

배추·무 평년 대비 각 22.3%·34.8% 급등
지난해 가을 폭염·겨울 한파 영향

2025.04.02 17:41:58

[충북일보] 최근 채소류 가격이 잇따라 오르면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5면>

2일 청주 육거리종합시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은 부쩍 오른 채소값에 놀란 반응을 보였다.

이날 장을 보러 나온 이모(65)씨는 "물가가 전반적으로 올랐지만 특히 채소 가격이 급격하게 올라 살때마다 이것저것 비교하면서 사게 된다"고 토로했다.

김모(48)씨도 "평소 나물 반찬을 자주 해 먹는데 지난달부터 채소 물가가 크게 오른 걸 체감해 밥상을 차릴 때마다 걱정"이라고 말했다.

치솟는 물가에 시장 상인들도 울상을 짓기는 마찬가지다.

2일 청주시 상당구 육거리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전은빈기자
육거리 시장에서 30년 넘게 채소 가게를 운영해 온 정모(74)씨는 최근 들어 매상이 뚝 떨어졌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지난해에 비해 3분의 1도 팔리지 않는다. 아침에 채소를 진열해 놓아도 절반도 팔리지 않아 결국 버리기 일쑤"라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또 "더욱이 올해는 이상기후로 채소 수급이 더 어려워졌다"며 "갑자기 추워지거나 더워져서 채소가 얼거나 썩는 경우가 발생해 가격이 자꾸 오르내리니 소비자들이 예전처럼 자주 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일 기준 청주 지역 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포기당 5천855원으로 집계됐다. 평년 4천785원 대비 22.3% 높은 가격이다.

양배추는 평년보다 30.6% 높은 5천305원을 기록했으며, 무 가격도 3천10원으로 평년보다 34.8% 오르는 등 전반적으로 채소류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농산물 가격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는 기후 변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가을 폭염과 겨울 생육 시기에 한파가 이어져 배추 등 농산물 출하량이 감소했다.

이에따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농협과 협력해 봄배추 재배면적을 확대하고, 수매대금 지급 절차는 간소화하며 배추 수급 안정화에 힘쓰고 있다.

충남, 경남 등에 신규 재배면적 24.6㏊를 확보하고 7월부터 9월까지 총 2천t(예정)의 배추를 도매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 전은빈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