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될 수도, 고정될 수도, 쉽게 요약될 수도 없는

2014.11.18 14:05:38

김지선

음성 삼성중 교사

얼마 전 십수년 만의 한파 속에서 고3 학생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루고, 한숨 돌리기가 무섭게 논술, 면접 등을 대비해서 또 다시 긴장모드로 돌입해야 한다. 이 관문을 통과해야만 대학이라는 새로운 문을 열 수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순간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동안 쌓은 실력을 아낌없이 쏟아주기를, 그래서 후회 없는 시간이 되기를 간절히 응원한다.

수능시험이 끝나기가 무섭게 제자들한테 전화가 왔다. 멀리 떨어져있다는 이유 만으로 찹쌀떡 하나 사주지 못한 부족한 선생님인데 말이다. 이렇게 잊지않고 나에게 전화를 해주고, 안부를 전하는 이 학생들은 내가 다시 선생님으로 설 수 있도록 희망을 준 학생들이었다. 초임 시절, 모든 게 서툰 나에게 학교는 적응하기 힘든 공간이었다. 많은 업무와 가르치는 것에 대한 부담감, 매번 감정적으로 부딪히는 학생들로 인해, 교사라는 직업을 내려놓으려는 극단적인 생각까지 했었다. 그러다 학교를 옮기게 되었고, 거기서 처음 만난 학생들이 올해 수능을 본 학생들이다. 그들은 낯설어하는 나에게 일일이 화장실, 특별실 위치까지 알려주는 등, 쉬는 시간이면 내 주위에 몰려들어 웃음꽃을 피우게 해주었다. 하지만 마음에 상처가 많았고, 자격지심으로 잔뜩 움츠러 든 나여서 그들을 마음깊이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가을 날, 주무관님께서 노오란 국화꽃을 화단 가득히 가꾸어 놓으셨다. 그리고 그 주변을 빠알간 사루비아 꽃으로 장식하여 가을을 더욱 빛내주셨다. 학급 시간에 우리는 화단으로 나갔다. 화단에서 그 꽃들을 보는 순간, 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꽃으로 글씨를 쓰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순식간에 화단에서 꽃을 꺾어 넓은 잔디밭에 "2-2 화이팅, 세상을 향해 소리치다" 라고 쓰기 시작했다. 잔디밭에서 글씨를 쓰다가 미끌어 넘어진 나를 학생들이 잡아주면서 함께 웃는데, 전혀 창피하거나 하지 않았다. 오히려 눈부신 가을 햇살 아래, 학생들이 한 명씩, 한 명씩 내 마음 속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행복한 순간도 잠시, 그 다음날 잔디밭에 쓰여진 우리들이 만행을 보신 교장선생님께서 살짝 부르셨다. 교장선생님은 "김 선생, 학생들과 함께하는 건 좋지만, 살아있는 생명을 꺾는 건 안되는 일이야. 그리고 이 꽃을 가꾸신 주무관님도 생각했어야지." 하시는데 죄송한 마음에 얼른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우리 학생들과 자연 속에서 웃고 떠들며 함께 했던 그 순간을 잊을 수가 없다. 그 때부터 교사라는 직업을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던 것 같다. 학생들과 평행선이 아닌 함께 호흡하고 웃으면서 공감할 수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한 첫 걸음이었다. 완벽한 교사가 되기 위한 부담감에서 벗어나, 서툴더라도 학생과 마음을 나누며 함께 걸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던 것이다. 윌림엄 에어스는 그의 저서 '가르친다는 것'에서 "훌륭한 선생님, 위대한 선생님이 되는 일은 평생을 걸어야 하는 일이다. 좋은 가르침은 더 나은 가르침을 영원히 찾아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르침은 완성될 수도, 고정될 수도, 쉽게 요약될 수도 없다" 라고 말했다. 이렇듯 교사는 완벽하지 않지만, 부단히 노력하는 과정을 업으로 여기는 존재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