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그곳Ⅰ

2024.06.16 13:45:30

박명애

수필가

친구와 대머리 공원인 무농정지를 걸어본다. 날이 흐린 탓인지 한 낮인데도 나무 사이로 건너오는 바람이 시원하다. 두 해 전 늦가을 다녀갔으니 꽤 오랜만이다. 책 벗들과 우리 지역 정자 기행을 해보자고 야심찬 계획을 세웠었는데 나의 불성실함으로 인해 몇 회 진행하지 못했다. 그 때 처음 찾았던 곳이 무농정(務農亭)이다.

당시는 11월 초입으로 늦가을 경치가 눈부신 계절이었다. 만산홍엽 안으로 한걸음 들어가면 숙성 중인 나뭇잎 내음이 향긋했다. 같은 나무라도 자리에 따라 익는 농도가 달랐다. 빛과 바람이 지나간 흔적이다. 온통 붉게 취해버린 나무가 있는가 하면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듯 느리게 초록에서 붉음으로 건너가는 나무도 있었다. 연대하듯 같은 농도로 한 덩어리가 되어 세를 과시하는 나무들도 있고 푸른 주목이나 소나무 사이에 홀로 서서 시선을 잡아당기는 화려하면서도 고독해 보이는 나무도 있었다. 같은 시간 속을 만물은 모두 각자의 속도로 걷고 있을 뿐인데 다른 속도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현상은 지극히 아름다웠다.

알싸한 숙성의 향기가 흐르던 공원은 온통 싱그러운 초록으로 덮여 짙은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신발을 벗고 무농정에 올라 앉아본다. 따사로운 햇살이 비껴들어와 등을 데웠던 그날의 기억이 떠오른다. 무농정은 비교적 높은 곳에 자리해서인지 고층 아파트들에 둘러져 있어도 한요하고 고즈넉하다. 방정리 일대는 청주 한씨의 시조인 한란(韓蘭)이 살던 곳인데 1668년(조선 숙종14)에 세워진 무농정비에 정자에 얽힌 유래가 새겨져 있다. '무농정은 우리 시조가 아직 출세하기 전에 임원(林園)에 은거하면서 들을 향하여 정자를 세우고, 여기서 농정의 시책을 연구함으로 인하여 정자의 이름을 '무농정'이라 하였다'는 비문을 읽고나면 새삼 다시 주변을 둘러보게 된다.

본디 누정이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지면에서 한 층 높게 지은 집을 일컫는 말이니 아마도 아주 오래전 이곳은 사방 넓은 들이 내려다보이는 높은 자리였을 것이다. 보통 개인이 세운 누각은 절경에 위치하여 자연경관을 즐기는 곳으로 선비들의 풍류와 친교의 공간으로 쓰이는데 무농정은 성격이 조금 다르다. 누정의 이름에는 그 누정의 특징이나 세운 이의 삶이 담겨 있는데 무농정이라 하니 구지 비문을 읽지 않아도 농사를 중요시 여긴 주인의 품성을 알 듯 하다.

열다섯 나의 기억 속 무농정지는 덤불 우거진 동산이었다. 친구가 이곳 방정리에 살았는데 주말이면 자전거를 타고 주변을 달리곤 했다. 그 때는 도심이 성안 길 주변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곳은 청주시를 벗어난 외곽이었다. 그야말로 넓은 들이 내려다보이는 한적한 시골 마을이라 지금처럼 차량 통행이 많지 않아 자전거를 타기엔 참 좋았다. 무농정지 근처인 친구 집에서 차도를 건너 분평동과 미평동 너른 들판 농로를 따라 달리며 느끼던 그 바람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그 바람 길엔 이제 아파트가 들어서고 아무도 돌아보지 않던 그 동산에는 새로 정자를 개건하여 말끔한 공원이 되었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