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C 세계경제선도 주력산업 ‘급부상‘

2007.05.11 07:46:17

제4대 기술혁명인 바이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세계경제는 정보통신산업과 바이오산업이 국가경쟁력을 좌우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바이오산업은 첨단기술산업 중에서도 가장 높은 성장이 전망되는 21세기 세계 경제를 선도할 주력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세계각국이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충북도는 바이오산업을 충북경제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수립하고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 개최 등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기술경쟁력이 취약하고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초 인프라도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보는 충북지역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해 현황과 문제점, 해외의 바이오산업 현장 등을 취재해 충북의 바이오산업 발전방안의 대안 등을 연재한다. - 편집자주

우리나라 및 충북 바이오산업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낮은 기술수준 △저조한 연구개발 투자 △연구인력 부족 △바이오벤처기업 취약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충북의 경우 오송생명과학단지를 활성화해 전진기지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 차별화된 바이오 기술개발을 위해 바이오 연구개발센터 설립 등과 바이오산업과 관련된 대학의 연구를 지원하고 산·학·관·연의 바이오 기술과 산업정보 등의 교류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도 필요하다.
충북도는 오창에 생명캠퍼스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곳에는 국가영장류센터와 바이오평가센터, 신약연구동, 미니돼지연구센터, 바이오신약상용화센터, 바이오나노시스템연구센터, 재생의학연구센터, 생물자원센터, 임상연구센터 등이 조성된다.

#바이오 산업
바이오산업(Biotechnology Industry, Bioindustry: BT)은 biology 와 technology 의 합성어로써 생물체가 가지는 유전, 번식, 성장, 자기제어 및 물질대사 등의 기능과 정보를 생물공학기술(Biotechnology)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유용한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생물공학기술 이용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 전자, 에너지, 의약, 농업, 식품 등 여러 산업부문에 생물공학기술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창출하는 횡적 산업군이다. 바이오산업은 기술 발전에 따라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 이상의 파급효과가 예상되고 IT, NT(Nanotechnol
ogy), ET(Environment Technology) 등과의 기술융합과 이에 따른 상승작용으로 첨단산업 중에서 성장속도가 가장 빠른 산업으로 전망되고 있다.

# 바이오 산업 특징
바이오산업(Biotechnology Industry, Bio
industry)은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의 건강증진, 질병예방·진단·치료에 필요한 유용물질과 서비스를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산업이다.
바이오 산업은 생명공학기술의 적용 여부에 의해 분류되는 기술기반산업으로 생명공학기술의 산업 혁신 효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OECD에서는 2000년 이후 회원국가를 중심으로 관련 통계를 위한 자료조사 및 분석 작업 등을 추진해 오고 있다.
미국, 일본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바이오산업에 대한 특수 통계사업과 분석을 위해 내부적인 분류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바이오산업이 최근 급성장하는 것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식기반산업으로 미래유망산업, 인간과 환경에 적합한 산업으로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산업은 대부분 제품들이 인·허가가 요구되는 제품들로 장기간의 개발기간과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한다.
충북대에서 추진하고 있는 암관련 신약개발과 도내 4개 대학과 20여개의 기업체가 참여하는 충북바이오누리사업단의 연구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바이오산업을 대표하는 바이오의약의 경우 신약개발에 평균 14년, 총 8억 달러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고 성공 확률 역시 매우 낮다.
생명체를 직접 다루거나 생명과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는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생명윤리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비용 경쟁력과 개발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가 전제될 필요가 있다.

/ 기획취재팀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