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주재하는 '2025년 시·도 부교육감회의'가 열리고 있다.
[충북일보]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3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그간 교육부와 교육청이 함께 노력했던 여러 교육개혁 과제가 교육 현장에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5년 시·도 부교육감 회의'에서 "2025년은 그간 쌓아온 실행 기반 위에서 교육 현장의 본격적인 변화가 결실을 맺게 되는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는 교육부가 지난 10일 발표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핵심적인 추진 과제의 원활한 이행 방안을 시·도교육청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신학기를 맞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등 주요 교육정책의 현장 안착, 통학로·학교 시설 안전 등 학교 안전 점검 등이 꼼꼼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 상황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이 부총리는 "올해 교육부는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으로 교육격차를 해소해 기회의 사다리가 되는 공정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5대 정책 방향을 설정했다"며 "먼저 국가책임 교육·돌봄을 위해 영유아 교육·보육을 강화하고 늘봄학교를 안정적으로 확대해 출발선 평등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교육 현장의 담대한 변화를 이끌어 나가기 위해 사교육·입시 부담을 완화하고 맞춤형 지원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등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으로 학생 개별 맞춤교육을 실현하고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로의 틀(패러다임) 전환 및 교사가 수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지방과 국가의 동반 도약을 위해서는 교육발전특구, 라이즈(RISE,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본격 가동 등을 통해 지역 격차를 해소해 나가며 직업계고 육성 및 대학생 학자금 지원 확대 등으로 청년 성장을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오늘 회의에서 논의할 내용들은 모두 2025년 교육부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 포함된 핵심 과제들"이라며 "해당 과제들은 교육부가 교육청을 비롯한 교육 현장과 함께 올해 집중해야 할 교육정책들인 만큼 현장에서 차질 없이 추진되고 안착될 수 있도록 함께 점검하고 챙겨줄 것"을 요청했다.
끝으로 "신학기를 대비해 학생들이 안전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통학로 및 학교 시설 안전 등 학교 안전 전반에 대해서도 면밀히 점검할 것"을 당부했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