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반도체 소재부터 후공정 분야까지 촘촘한 산업생태계가 구축돼 있는 충북이 'K-반도체 전략'의 핵심지역이라는 지위를 유지하려면 만성적인 인적자원 수급불균형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펴낸 보고서 '지역산업과 고용 2024년 봄호'에서 윤창훈 충청대학교 교수와 이혜진 충북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수석연구원은 지역 사례로 반도체 산업 현황과 인적자원 수급 현황에 관한 실태조사에 기초해 '충북 반도체 산업 현황과 인적자원 수급균형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윤 교수와 이 수석연구원에 따르면 충북 반도체 산업은 충북 3대 주력산업 중 가장 높은 GRDP 비중(15.5%)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국 대비 집적도(종사자 수 기준 6.4%) 4위, 특화도(사업체 수 기준 0.8%)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핵심 산업이다.
충북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2022년 187개 반도체 사업체를 조사한 인적자원 수급 현황을 보면 구인인원이 483명이었던 것에 비해 채용인원은 318명으로 인력충족률이 65.8%에 불과해 구인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퇴직자 수도 179명으로 채용인원의 56.3%로 절반 이상이 퇴직해 높은 인적자원의 유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2022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의 인적자원 수요 336명 대비 공급인원은 272명으로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이 아닌 만성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어 인적자원 수급불균형이 지속적 현안으로 존재하고 있다.
직무별 인적자원 채용의 주요 애로사항은 △경영관리 분야는 우수인력 채용을 위한 인건비 부담 △연구개발 분야는 정주여건 불만족 △제조관리 분야는 근로환경 미흡 △제조단순 분야는 지원자의 실무역량 부족이 꼽혔다.
인적자원 수급의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나타난 정주여건과 근로환경 개선의 경우 정주여건과 근로여건 모두 사용자와 근로자의 요구 비중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주여건은 통근편리성, 주거확보, 문화생활 여건조성이 주요 요구사항이고 근로환경은 휴게시설, 작업장 재배치, 작업복 개선 등이다.
반도체 산업에 속한 사업체가 인력수급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 방법으로는 '기존 인력 간 업무 부담', '해당 업무의 아웃소싱', '임시적 고용' 순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산업의 인적자원 유입에 대한 직무별 지역유입 현황을 보면 대체로 충북 자체 내에서의 조달 비율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연구개발' 분야는 지역 내에서의 조달이 52.9%에 불과하고 약 20% 정도가 서울 및 수도권에서 유입되고 있었다.
윤 교수와 이 수석연구원은 인적자원 수급균형을 위해 △반도체 산업 분야 인적자원 수급을 전략적으로 총괄할 수 있는 거버넌스의 설치·운영 △인적자원의 '양성'·'향상' 시스템에 대한 중장기적 전략 수립 △인적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일자리의 질적 수준 향상 △다양한 직종과 수준의 인력을 타 지역에서도 원활하게 수급할 수 있는 대책 △해당 산업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들과 기업 간의 긴밀한 상생 등을 제언했다.
이들은 "충북은 반도체 산업의 R&D, 메모리, 후공정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전 분야의 대기업과 중견기업, 다수의 협력기업이 소재하고 있는 반도체 종합 클러스터 지역이라 할 수 있다"며 "따라서 반도체가 지역의 핵심 산업이 될 수밖에 없고 이에 상응하는 인적자원의 수급균형이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주요 과제를 안고 있다"고 강조했다.
거버넌스와 관련해서는 "'충북 반도체 산업 상생협의체'와 같은 거버넌스를 구성해 지역 반도체 인적자원을 총괄 협의·조정할 수 있는 콘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며 "즉, 노·사·민·정 또는 산·학·연·관이 함께 참여하는 '지역 반도체 거버넌스'의 설치와 운영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