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뉴미디어팀
특히, 북한의 핵 개발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중국의 대북영향력 약화 및 이에 따른 핵 억지력,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를 신구세대 간 열띤 토론도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대북정책을 놓고 강경 일변도의 입장을 밝히고 있는 새누리당과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의 '햇볕정책'에 대한 평가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분야에서는 오는 28일 시행 예정인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수수 금지법)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장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충북의 경우 청주권과 비청주권의 의견이 다소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농수축산물 판로에 대한 걱정이 깊은 비청주권을 중심으로 김영란법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될 수 있는 반면, 청주권에서는 김영란법 시행에 따른 긍정적 효과에 찬성하는 의견도 예상된다.
12일 식당에서 만난 직장인 A씨(53)는 "그동안 명절이 되면 적지 않은 선물을 받았고, 또한 적지 않은 선물을 보냈다"며 "추석연휴에 가족들과 만나 대화를 나누면서 김영란법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의견을 나누겠다"고 말했다.
지역 이슈와 관련해서는 청주국제공항 항공기정비산업(MRO)과 관련된 얘기가 화두로 등장한 상태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 이어 아시아나항공마저 MRO 불참을 통보하면서 충북도의 대응과 국토교통부의 정책변경, 이에 따른 여야 갈등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도출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사실상 3선 도전의사를 밝히고 있는 이시종 충북지사의 도정에 대한 평가와 함께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 지방의회 의원들에 대한 평가도 병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 각종 개각에 대한 평가, 최근 정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우병우 민정수석 문제까지 광범위한 주제도 밥상머리 대화 주제로 꼽히고 있다.
이를 전제로 오는 201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상 첫 충북 출신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여야 잠룡들에 대한 장·단점, 지역 및 정책 구도에 대한 대화도 쏟아져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 밖에 청년실업률, 가계부채 증가, 세대 간 갈등, 자녀들의 교육문제 및 교육정책, 실물경기 위축, 사회지도층 인사들의 망언, 새 지도부 구성을 마친 여야 대표 등 지도부에 대한 평가 등도 술자리 안주감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엿보인다.
충북도청 공무원 B씨(51)는 "북한의 핵 개발과 김영란법, 우병우 문제, 가정용 전기 누진제 등 정치와 경제, 민생과 관련된 다양한 얘기가 나오지 않겠느냐"며 "이렇게 형성된 밑바닥 민심을 제대로 듣고 국정과 도정에 반영해야 소통의 정치를 펼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충북 출신의 여의도 정치권의 한 관계자도 12일 통화에서 "해마다 명절 민심은 정국의 분수령이 될 정도로 파괴력을 보여줬다"며 "어느 때보다 많은 이슈로 국민들의 집중도가 분산된 측면이 있지만, 올 추석에도 지역구 곳곳을 누비면서 민심이 지향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꼼꼼히 파악해 보겠다"고 밝혔다.
서울 / 김동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