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지방선거 여론조사 지지율 들쑥날쑥 왜?

유선 ARS·면접, 유·무선 ARS·면접 제각각
응답률 따라 가중치 부여, 실제 투표율 판이
조사결과는 예측 아닌 전망…현혹되면 곤란

2014.05.27 20:00:23

공표 금지를 앞두고 최근 쏟아지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 지역 정·관가는 물론, 유권자들의 혼선이 가중되고 있다.

조사기관마다 지지율이 최대 10%p 이상 차이를 보이거나 1·2위 후보가 뒤바뀌는 등 혼선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여론조사 방식은 크게 4~5가지로 나눠진다.

먼저 유선전화 ARS(자동응답)다. 무작위로 선정된 집 전화를 대상으로 사전에 녹화된 각본에 따라 질문하는 형태다. 비용 측면에서 가장 저렴한 방법으로 여야 후보들이 가장 높게 선호하는 방식이지만, 신뢰도 측면에서 가장 떨어지는 방법으로 해석된다.

이어 유선전화 RDD(Random Digit Dialing) 방식이 있다. 지역번호와 국번을 제외한 나머지 4자리 번호를 컴퓨터로 자동 추출해 선정된 번호로 전화를 거는 여론조사 방식이다.

최근 휴대전화가 보편화되고 유선전화 보급률이 감소되자 전화번호부에 등재되지 않는 번호가 많아지면서 기존의 전화여론조사 방식인 전화자동응답(ARS)조사 방식에 대한 표본의 대표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보완한 방법이다.

RDD 방식은 지역번호와 국번이 제외된 상태에서 전화면접이 이뤄지기 때문에 별도의 지역에 대한 질의시간이 필요없는 기존 조사에 비해 조사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유·무선전화 ARS와 유·무선전화 RDD도 비슷한 장·단점이 있다. 여기에 최근에는 유·무선 전화 ARS와 유·무선 RDD를 혼용하는 최첨단 여론조사 방식도 있다.

통상적으로 유선전화 ARS의 경우 1번 후보에게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녹화된 음성을 듣기 싫어하는 유권자들이 모조리 1번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선전화 RDD 역시 1번 후보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통상적으로 19~30대까지 젊은층의 경우 유선전화보다는 무선전화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낮 시간대에 이뤄지는 유선전화의 경우 직장생활을 하지 않은 계층의 응답률이 높다.

이 때문에 일부 여론조사 기관의 경우 유선전화 조사가 이뤄져도 가중치를 적용하는 사례가 있다.

이를 종합할 때 모든 여론조사를 전폭적으로 신뢰하는 것은 무리수라는 분석이다. 여론조사를 통해 확인되지 않는 표심이 곳곳에 숨어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투표율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저표적인 사례다. 전통적으로 19~30대 투표율이 낮고 50대 이상의 투표율이 높은 상황에서 투표율이 반영되지 않은 여론조사 결과는 반대로 보수 후보에게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오차범위 역시 심각한 문제다. 여론조사의 오차범위는 최소 ±1.4%에서 최대 ±4.9%까지 벌어진다. 샘플수에 따라 오차범위가 크게 달라지게 된다.

이를 최대 허용오차로 환산하면 여론조사 의미를 찾아보기 힘들다. 가령 ±1.4%의 최대 허용 범위는 2.8%가 되지만 ±4.9%는 무려 9.8%에 달하게 된다.

오차범위 내에서 1~2위 순위는 큰 의미가 없다는 얘기다. 되레 후보자와 유권자들에게 혼선만 안겨줄 수 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이에 대해 "워낙 '깜깜이 선거'가 진행되면서 여론조사 의존도가 높은 것 같다"며 "분명한 것은 어떤 여론조사도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아닌 전망하는 것으로 각 후보자와 유권자들은 크게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여론조사 결과를 단순하게 판단하는 것은 큰 위험이 있다"며 "보다 구체적인 조사 방법까지 따져 보고, 조사 기관별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연속적으로 분석해 판단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29일부터 6월 4일 오후 6시까지 여론조사 결과 공표가 금지된다. '공직선거법' 제108조에 따라 선거일 전 6일부터 투표마감까지 여론조사 경위와 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해 보도할 수 없다. 다만, 금지기간 전에 조사된 것을 명시해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 보도하는 것은 가능하다.

/ 선거취재팀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