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건설업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올 들어 벌써 중견 건설사 4곳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건설업 위기가 경제 전반으로 확산 중이다. 충북에선 시공능력평가 도내 1위인 대흥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한다. 지난 7일 공시를 통해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신청을 준비 중이라고 알렸다. 시공능력평가 전국 96위 건설사의 추락이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는 160곳이다. 2020년 이후 동일 분기 대비 가장 많다. 도장·방수 등 전문건설업체까지 포함하면 600여 곳에 달한다. 하루 평균 10개꼴이다. 건설업 업황이 좋지 않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충북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7곳으로 집계됐다.
건설업계의 장기 침체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사들의 줄 폐업은 건설업 종사자 급감으로 이어진다. 스스로 경영난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불안정한 원자재 가격을 위해 공급망 다각화도 꾀해야 한다. 그래야 필요한 자재를 저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인력 부족 해결을 위해 숙련된 인력도 양성해야 한다. 자동화 장비 활용을 통해 노동력 의존도를 줄이는 건 아주 중요하다. 건설경기 불황은 경기침체 탓이 가장 크다. 하지만 수요예측에 실패한 건설사 책임도 있다. 그동안 건설업계는 과도한 부채에 의존한 확장 전략을 지속해왔다. 리스크 관리보다 수익 창출에 치중해온 게 사실이다. 그 과정에서 부실을 키운 기업도 적지 않다. 지금 상황에서 건설경기 반등은 쉽지 않다. 건설사 부실이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매출이 큰 폭으로 줄어들며 고사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다. 이대로 가면 줄도산까지 이어지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지금 상황은 단순한 일시적 어려움이 아니다. 구조적인 문제에서 생긴 현상이다. 지속적인 대응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심각한 위기를 부를 수 있다. 건설업계는 지금의 위기를 체질 개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폐업한 업체 대부분은 폐업 사유로 '사업 포기'를 제시했다. 전체적으로 공사 수주 물량이 줄어든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공사비 급등에 따른 재무 건전성 악화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자금난 원인으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공사비 급등 등이 꼽힌다. 수도권까지 덮친 미분양 쇼크와 수주 절벽 장기화 영향이 크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증가는 악성 미분양으로 꼽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월 건설공사비 지수는 131.04p다. 이는 공사비 지수기 2020년에 비해 30%가량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설업계의 위기는 예견된 일이다. 문제는 건설업의 위기가 지역경제의 위기라는 점이다. 일자리 감소는 가계소득 감소로 이어진다. 일자리 감소는 지역경제 전반을 얼어붙게 한다. 정부는 지역의 중소업체들이 안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충북도는 더 늦기 전에 관급공사 조기 발주를 서둘러야 한다. 건설 분야 SOC사업 확대와 함께 지역 건설업체 하도급률 제고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의 지원책도 마련해야 한다.
위기는 고통스럽다. 하지만 구조조정과 체질 개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다면 건설업은 더 강해질 수 있다. 건설사들은 스스로 재무구조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