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망초에 대한 소고(小考)

2024.06.18 14:51:44

양선규

시인·화가

요즘 길을 걷다 보면 밭 한가운데, 무더기로 핀 개망초를 쉽게 볼 수 있다. 어떤 사연으로 빈 밭이 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그 꽃을 멀리서 보면 안개꽃이나 구절초 같기도 하고 언뜻 보면 쑥부쟁이, 들국화 같기도 하다. 그런데, 왜 하필 개망초인가.

개망초는 야산이나 제방 천, 길가 또는 언덕에 피기도 하지만 유독 휴경지나, 빈집 마당에 군락을 이루어 피는 꽃이다 보니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일까. 알고 보면 꽃 이름은 나름대로 다 연유가 있겠지만 때로는 오독(誤讀)이 있기도 하다.

여려운 시절, 가족들과 옹기종기 모여 앉아 어린 새순을 나물 찬으로 먹기도 했던 개망초는 여름이면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흔하게 피는 꽃이다. 특히 빈집의 텅 빈 마당이나 농사를 짓지 않는 휴경지의 밭에 군락을 이루며 핀다. 개망초는 꽃 이름이 그래서 그런지 언제부턴가 사람들에게 그리 달갑지 않은 꽃이 되었다. 하지만 그 속 사정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리 흉한 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실 귀화 식물이나 꽃은 휴경지나 빈집이 아니어도 생육 조건만 맞으면 어느 곳이라도 잘 적응해 뿌리내리고 꽃을 피우는 번식력이 지독히 강한 식물이기 때문이다.
ⓒ양선규
개망초는 입하 무렵부터 처서까지 피는 꽃이다. 생명력이 끈질기고 번식력이 뛰어나 개망초가 피면 밭이 망한다고 해서 개망초라 지어졌다는 설과 그 밖에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그중 가장 설득력 있게 전해지는 이야기로 망초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철도가 놓일 때 사용되는 침목을 미국에서 수입해 올 때 함께 묻어 건너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름이면 철로 가를 따라 하얀 꽃이 핀 것을 보고 일본이 조선을 망하게 하려고 꽃의 씨앗을 뿌렸다고 생각해서 망국초라 부르다가 다시 망초로 부르게 되었다. 그 후 생육 조건이 맞아 망초보다 더 예쁜 꽃이 피었는데, 망초보다 더 나쁜 꽃이라 여겨 '개망초'라 불렀다고 한다.

어찌 보면 꽃의 이름이 개망초가 된 것은 나라가 망해가던 시절에 피던 꽃이라 붙여진 꽃 이름이 아닐까. 어쩌면 한창 나라가 융성하고 도약하는 시기에 그 씨앗이 들어와 들녘에 피었더라면 망초, 망국초, 개망초라는 꽃 이름은 면했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개망초도 달 뜨는 밤마다 사무치는 그리움에 눈물 흘릴 줄 알며 여린 바람에도 살랑살랑 흔들릴 줄 아는, 아침에는 영롱한 이슬 맺힌 꽃잎이다. 나는 지금이라도 개망초, 그 꽃 이름을 유월의 들 빛 산빛과 잘 어울리는 이름으로 개명해 주고 싶다.

여름의 꽃은 꽃잎이 두텁고 향이 더 진하고 무겁다. 산길에 피는 박하, 자귀나무, 칡꽃 등이 그렇다. 들길을 걷거나 산길을 걸으면 땀이 비 오듯 하고 숨소리가 거칠어져 금방 몸을 지치게 한다. 하지만 진한 꽃향기와 초록의 풀과 나뭇잎 냄새가 몸의 피로를 풀어주고 정신을 맑게 해준다.

골짜기마다 뻐꾸기 소리 울리는 유월의 고향이 그립다. 지금도 내 고향 학산에는 산나리, 엉겅퀴, 개망초 등의 여름꽃이 무성하게 자라 꽃을 피우고 있을 것이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