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은 환자들의 절규 외면 말아야

2024.06.17 20:12:02

[충북일보]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 휴진에 돌입했다. 18일로 예정된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 휴진을 부추기는 셈이 됐다. 휴진 의사들은 유사시 병원을 차리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기면 더 많은 돈을 벌지도 모른다. 그런 직업 선택의 자유는 보장돼야 한다. 하지만 반생명·반국민 행위에 대한 책임에선 자유로울 수 없다. 사법적·행정적·도덕적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정부는 진료 거부 장기화로 병원에 손실이 발생할 경우 구상권 청구 가능성을 언급했다. 환자 단체는 고소·고발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책임을 끝까지 물을 요량이다.

의협이 18일 휴진을 예고했다. 하지만 동네의원들의 참여율이 저조하다. 시민 입장에선 아주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 의대 교수가 "의대 증원 문제가 사람의 생명보다 더 중요한 것이냐"고 일침을 가해 눈길을 끌고 있다. 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위원장은 언론 기고문을 통해 "10년 후에 활동할 의사 1천509명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재 수십만 명 중증 환자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도 절대로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0년 후 1% 의사가 늘어난다고 한국 의료가 망한다고 말할 수 있느냐. 나의 사직, 휴직으로 환자가 죽는다면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정당화될 수 있겠느냐"라며 "아무 잘못도 없는, 국가와 의사가 지켜주어야 할 중증 환자들이 생명을 잃거나 위태롭게 됐다"고 꼬집었다. 충북에서는 충북 민·관·정 공동위원회가 의사들의 집단 휴진을 비판하며 의료현장으로의 신속한 복귀를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충북의사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 정부는 의대정원을 2025학년도부터 2천명 증원하는 것을 비롯해 충북 의대 정원을 300명으로 증원한다고 밝혔다"며 "하지만 의사협회를 중심으로 집단진료거부, 집단사직, 집단휴진 등의 행동들로 충북 의대정원은 225명으로 축소돼 전국 최하위에 머물게 됐다"고 주장했다. 민심이반의 실증적 사례다.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92개 환자 단체들은 "제발 환자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아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의사단체가 벌이고 있는 진료거부는 국민의 생명에 위해를 가할 뿐이다. 실익 없이 국민 지지만 잃는 집단행동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우리는 지금 의사들이 벌이는 집단 휴진을 이해하기 어렵다. 가장 약자인 환자들을 볼모로 하다 보니 의사이길 포기한 모습으로 비춰진다. 그저 잇속만 챙기려는 장사치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현장 떠난 전공의를 돌아오게 설득해야 할 의사들이다. 그런데 되레 환자까지 내팽개치려 하고 있다. 의사 집단휴진은 필수의료 강화라는 대의를 외면하는 행위다. 일부 회원의 경제적 이익 극대화에 목청을 높이는 꼴이다. 의사의 이미지가 자꾸 부정적으로 변하는 건 자업자득이다. 의협이 주도하는 18일 집단휴진에 실제 휴진하겠다고 신고한 개원의가 4%에 그치고 있다. 충북의 경우 2.5% 수준이다. 지금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는 환자들도 있다. 이들을 외면하는 이유 없는 파업은 어떤 국민도 이해하지 못한다. 전국 어디서나 치료받지 못해 목숨을 잃는 국민이 없도록 의사를 늘려 나간다는 게 의료개혁이다. 결국 의사가 있어야 할 곳은 환자 곁이다. 정부와 의사 중 누구 주장이 옳으냐는 그 다음이다. 여론이 완전히 등 돌리기 전에 의사들은 환자들의 절규를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