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산불 국가시스템부터 혁신하라

2025.03.27 18:58:02

[충북일보]해마다 봄철이면 대형 산불이 연례행사처럼 발생하고 있다. 올해도 어김없다. 27일 현재 사망자만 26명이다.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됐다. 초대형 국가 재난이다. 재해 대응 시스템을 완전히 새로 짜야할 판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1980년대 산불 발생은 연평균 238건이었다. 하지만 2020년대 들어 580건으로 늘었다. 피해 면적은 연평균 1천112㏊에서 8천369㏊로 넓어졌다. 기후변화로 산불이 연중화하고 대형화한 탓이다. 상황 변화에 뒤떨어진 미흡한 장비와 부족한 인력·대응체계도 산불 대형화에 한몫했다. 단적인 예가 산불예방진화대원들의 고령화다. 전국 지자체들은 올해 산불 예방과 초기 진화를 위해 진화요원들을 고용했다. 그런데 평균 연령이 61세다. 진화대원은 불이 나면 15㎏의 등짐펌프를 지고 높은 곳까지 올라가 불을 꺼야 한다. 화재 진압과 동시에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체력과 역량을 갖춰야 한다. 젊은 사람도 힘든 일이다. 고령자들이 하기엔 아주 벅차다. 공공근로나 노인일자리 관점에서 다룰 사안이 아니다. 하지만 젊은이들을 고용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다. 농촌과 산간 지역에 젊은 인력 자체가 턱없이 부족하다. 그러다 보니 55세 나이 제한은 유명무실해진지 오래다. 진화대는 지자체별로 연중 6~7개월가량 운영된다. 대원들은 하루 8시간 근무에 약 1만 원의 최저 시급을 받는다. 정부와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

산불진화대의 운영구조부터 바꿔야 한다. 대원 중 책임자급이라도 무기계약직 등으로 채용해야 한다. 그래야 업무의 연속성을 이어갈 수 있다. 산불은 초기 진압이 가장 중요하다. 그 역할을 하는 게 산불진화대다. 공공근로나 노인 일자리 사업쯤으로 여겨선 안 된다. 반드시 체력과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이어야 한다. 산불 진화의 컨트롤타워 부재도 문제다. 이번 산불에 봤듯이 산불은 여러 지자체를 수시로 넘나든다.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총괄 대응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별로 산불 방재 능력엔 차이가 있다. 상황에 맞는 집중적 대응을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대형 산불로 진행을 막기 위해선 무엇보다 동원되는 장비가 훌륭하고 충분해야 한다. 현재 정부가 보유한 헬기는 모두 50대다. 대부분은 담수량 3t 미만의 중소형 기종이다. 담수 용량이 8t인 대형 헬기는 7대뿐이다. 그나마 2대는 정비 중이다. 미국과 호주 등 산불 대응 선진국들은 20~30t 이상 담수 가능한 초대형 수송기들을 보유하고 있다. 초대형 진화 헬기 도입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는 여기 있다. 산불 방재 시스템 현대화도 시급하다.

정말로 가슴 아프다. 이번 산불 피해는 평소 대비하지 않았던 구조적 문제를 총체적으로 드러냈다. 예방과 초기 진압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했다. 산불 대응 시스템의 혁신적 개선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낙후된 산불 방재 체계부터 손질해야 한다. 앞서 밝힌 대로 소방 인프라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 진화대 운영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전면적 개선도 시급하다. 이번 산불은 강풍과 건조한 날씨가 키운 게 사실이다. 하지만 대응 시스템 미흡도 피해를 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초대형 헬기 도입, 전문 진화대 육성, 중앙 컨트롤타워 지정, 첨단 장비 확충 등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부상했다. 국가 차원의 대응 시스템 강화를 요구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