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경기 부양 이끌 단기 대책 있어야

2024.05.21 22:10:55

[충북일보] 국내 건설경기에 대한 경고등이 이어지고 있다. 내수의 바로미터인 건설경기가 여전히 한겨울이다. 건설수주액 감소가 심상찮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충북 건설수주는 전년 동분기 대비 63.7% 감소했다. 건설수주 감소세는 최근 5분기 연속 진행 중이다. 2023년 1분기 -38.8%, 2분기 -51.5%, 3분기 -47.3%, 4분기 -27.8%, 2024년 1분기 -63.7%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내 공공발주가 전년 대비 53.0% 감소했다. 건축은 83.1% 줄었다. 민간 발주는 69.6% 감소했다. 이 같은 불황은 건설업 폐업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고금리, 고물가로 시멘트·레미콘·철강 등 주요 건설자재 가격이 30% 넘게 올랐다. 인건비도 덩달아 올랐다. 민간·공공사업 할 것 없이 공사비가 급등하자 사업이 중단됐다. 돈줄도 막혀버렸다. PF대출 잔액은 130조원이 넘는다.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 연체율이 많게는 10%대다. 직격탄을 맞은 건 지역경제다. 가장 먼저 식당 등 골목상권 실물경기는 얼어붙었다. 건설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문제는 건설경기가 아직 바닥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만큼 건설경기 침체가 심상치 않다. 건설업계의 어려움은 지난해부터 계속됐다. 개인 종합건설사 2천여 곳이 지난해 문을 닫았다. 이 같은 건설 불경기는 가구·건자재업계까지 도미노 쇼크를 주고 있다. 시멘트·레미콘 쪽도 폭풍전야다. 이사·도배업체도 다르지 않다. "이런 불황은 없었다"며 절박하게 부르짖고 있다. 지난해 문 닫은 공인중개사무소도 상당수로 추정된다. 건설산업은 전후방 효과가 아주 크다. 모두 예견된 후폭풍이다. 더 큰 문제는 일자리와 내수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이다.

정부는 일단 지난 1·10 부동산대책의 실제 효과부터 파악해야 한다. 그런 다음 보완할 점은 없는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 건설 생태계가 다 무너지지 않도록 정교한 대응으로 연착륙을 유도할 때다. 충북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건설경기 부진 현상이 두드러졌다. 길게는 내년을 넘어 후년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금리·자재가격·물가 모든 게 내려가지 않고 있다. 기업의 투자심리도 회복이 안 되고 있다. 정부의 예산도 줄어들고 있어 쉽게 답이 나오지 않고 있다. 건설업의 부가가치는 아주 높다.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15.5%를 차지한다. 건설업 취업자가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만만찮다. 2023년 기준 7.4%다. 생산액 10억 원당 취업자 수를 따지는 취업유발계수도 높다. 건설업의 경우 11.1명으로 2.1명의 반도체의 5배를 넘는다. 7.4명의 자동차 산업보다도 월등하다. 건설경기 침체가 가져올 여파를 짐작케 하는 지표들이다. 가장 먼저 실업자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가구, 전자제품 등 다른 소비산업의 침체다. 도배나 인테리어 등 소상공인까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 마디로 건설경기 침체는 내수경기에 치명적이다.

위기에 대응하는 비상한 대책이 요구된다. 경기 부양을 이끌 단기 정책이 우선 시급하다. 결국 건설 분야의 '돈맥경화'를 뚫어내는 게 체감경기를 살리는 처방이 될 수 있겠다. 다행히 충북에선 이달 중 5천억 원 규모의 영동양수발전소 입찰 공고가 있다. 지역건설 경기회복에 마중물이 됐으면 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