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충청권 상생으로 가는 길

2022.09.20 16:07:08

[충북일보] 지난 17일과 18일 이틀간 대전 한밭대에서는 색다른 행사가 열렸다. 행사 명칭은 제1회 세종·대전 이웃사촌 생활체육대축전. 이름에서 금방 무슨 행사인지 알 수 있듯이 이웃한 세종과 대전이 친선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체육행사를 마련한 것이다. 이번 행사에는 양 자치단체에서 180명씩 360명이 참가해 축구, 탁구, 테니스, 배드민턴 4종목에 걸쳐 평소 갈고 닦은 기량을 겨뤘다. 첫 행사인 만큼 개회식에는 최민호 세종시장등을 비롯해 양 자치단체의 주요 기관장이 대거 참석해 축하의 인사말을 건넸다. 이들은 누구랄 것 없이 앞으로 이 행사가 양 자치단체의 화합과 상생의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기원했다. 체육경기 중심의 행사였지만 실제로는 한마당 축제의 장이었다. 승자와 패자가 없는 모두가 승자인 그런 자리였다. 이 행사가 열리기까지는 우여곡절이 있었다. 지난 2019년 세종시와 대전시는 상생협력차원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생활체육대축전을 번갈아 가면서 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코로나19사태가 터지면서 2년동안 행사를 갖지 못했다. 그런 지난한 과정을 거쳐 첫 행사가 이번에 대전에서 열린 것이다. 행사를 공동개최한 세종시와 대전시도 첫 행사에 무척 고무된 모습이다. 양 자치단체 시민들의 반응을 보니 진작 했어야 했는데 하는 아쉬움이 들 정도로 호응이 높았기 때문이다. 세종시와 대전시는 첫 행사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참여 인원과 행사의 아이템도 다양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해관계가 엇갈리지 않는 민간차원의 충청권 교류 협력은 이처럼 나무랄데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자치단체의 이해관계가 극명한 사안에 대해서는 '이웃사촌'은 고사하고 이보다 더 심한 '앙숙'이 있을까 하는 정도다. 물론 자치단체의 이익과 손해가 달린 사안을 좋은게 좋다는 식으로 넘어가서는 안될일이지만 일부 사안은 금도(襟度)를 넘는 것이 아닌가 할 정도로 걱정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대표적인 것이 KTX 세종역 건립을 둘러싼 세종과 충북의 오래된 갈등이다. KTX 세종역 논란은 세종시가 지난 2014년 2030도시기본계획에 역 신설 방안을 포함하면서부터 본격화됐고, 지난 6·1 지방선거과정에서도 논란이 가열되는 등 세종과 충북간 민감한 이슈로 자리잡은지 오래다. 급기야 국토교통부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 KTX 세종역 신설은 불가능하다는 방침을 밝혔고, 세종시가 지난 2020년 5월 아주대에 의뢰한 'KTX세종역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에서도 KTX세종역 경제성은 비용 대비 편익(B/C)이 0.86으로 나오면서 양 자치단체의 갈등은 잠시 수면아래로 가라앉았다. 하지만 세종시가 올 추경에 KTX 세종역 건립에 따른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용역비 1억8천만원을 편성하면서 해묵은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친목적인 성격의 체육행사와 첨예한 이해관계가 엇갈린 KTX세종역 건립을 단순비교하면서 상생 운운하는 것은 무리다. 충북과 세종이 주장하는 자신들의 논리도 충분히 설득력 있다. 요는 내재된 갈등을 너무나 잘알고 있는 이해당사자이면서도 갈등해결을 위해 그동안 어떤 노력을 기울여 왔느냐하는 것이다. 해법도 없이 만나기만 하면 무슨 의미가 있겠냐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럴수록 더 만나야 한다. 껄끄러운 만남도 자주하다 보면 수가 생기는 법이다. 세종과 대전의 이웃사촌생활체육대축전같은 민간교류협력은 그런 불편한 관계를 원만하게 해주는 윤활유와도 같다. 먼저 마음이 통해야 상대를 이해할 수 있고, 결국에는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충청권 4개 시·도는 수도권에 맞서 지방소멸을 막고 균형발전 차원에서 충청권의 상생을 위한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 지난 4일 충청권 특별자치단체 설립 합동추진단 구성 준비를 위한 실무회의에 이어 지난 15일에는 합동추진단 조직구성안에 대해 협의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아직 별다른 잡음은 들리지 않고 있다. 하지만 4개 시·도가 끝까지 상생과 협력을 통해 충청권 특별자치단체라는 '옥동자'를 만들어 낼지는 지켜볼 일이다. 각론과 세부적인 차원에서 의견을 달리할 수 있겠지만 충청권 상생이라는 큰 틀에서 '나' 보다는 '우리'라는 공동운명체적인 관점에서 먼저 마음을 열고 충청권의 미래를 위해 4개 시·도가 지혜를 모아주길 기대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