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은 멧돼지 안전지대 아닌데…"엽사들 처우 개선 시급"

'멧돼지 포획' 수렵면허 있는 시민에게 일임
사실상 재능기부 봉사에 가까워… 터무니없는 지원·보상
지자체마다 다르게 관리돼 "체계적인 제도 마련 필요"

  • 웹출고시간2022.12.01 20:35:36
  • 최종수정2022.12.01 20:35:36

지난 2019년 청주시 수곡동의 한 아파트 단지 CCTV에 포착된 멧돼지들.

[충북일보] 충북지역에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산하는 가운데 '멧돼지 포획단'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1일 충북지역 다수의 엽사에 따르면 식비와 유류비, 사냥개 치료비 등 활동 유지비의 대부분을 엽사들이 자비로 부담하고 있다.

이들 손에 쥐어지는 돈은 멧돼지 한 마리당 30만 원가량이다.

조를 꾸려 멧돼지 포획에 나설 경우 개인에게 지급되는 돈은 더욱 줄어든다.

사실상 재능기부 성격으로 이뤄지는 봉사활동인 셈이다.

체계적인 제도가 없다시피 하니 지자체마다 부르는 단체명도 제각각이다.

청주시는 유해야생동물 피해방지단, 충주시는 상설포획단, 옥천군은 유해야생동물 자유구제단 등으로 부르고 있다.

각 단체에 속한 엽사들 중 '직업 엽사'는 많지 않다.

대체로 본업을 두고 있다.

이들은 수렵면허를 취득하고 총기사용 허가를 받았지만 평소엔 생업에 전념하다가 지자체와 경찰 등의 요청이 들어올 때라야 포획 작업에 나선다.

실탄을 다루는 데다가 사나운 야생동물을 상대하는 만큼 갖은 위험에 노출돼 있기도 하다.

지난 2018년 1월 4일 충주에서는 멧돼지를 포획하던 50대 A씨가 동료 엽사의 총에 맞아 숨졌다.

올해 10월 31일 옥천의 한 야산에서는 도토리를 줍던 70대 여성 B씨가 엽사가 쏜 총에 맞아 크게 다쳤다.

엽사뿐만 아니라 민간인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서둘러 체계적인 제도를 구축해 제대로 된 안전 시스템을 정비해야 하는 이유다.

충북지역은 멧돼지 안전지대가 아니다.

지난달 26일에는 청주 도심지에 멧돼지 3마리가 출몰해 시민들이 두려움에 떨었다.

충주·단양·괴산 등은 지금도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멧돼지 포획에 앞장서는 엽사들의 수고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정경수 야생생물관리협회 충북지부 사무국장은 "엽사분들 처우가 정말 많이 열악해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시민 안전을 위해 수렵 활동을 이어오는데 쉴 곳조차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걸 보면 속상하다"고 밝혔다.

청주시 관계자는 "엽사분들 노고야 익히 공감하지만 예산에 한계가 있어 번번이 죄송스러운 마음"이라며 "활동 비용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제정적으로 보탬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김민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박해운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동계훈련으로 전국체전 6위 탈환 노릴 것"

[충북일보] 박해운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이 "이달부터 동계 강화훈련을 추진해 내년도 전국체전에서 6위 탈환을 노리겠다"고 밝혔다. 박 사무처장은 1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전국체전에서는 아쉽게 7위를 달성했지만 내년 전국체전 목표를 다시한번 6위로 설정해 도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초 사무처장에 취임한 박 사무처장은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 위해선 우수한 선수가 필요하고, 우수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선 예산이 필수"라며 "전국 최하위권 수준에 있는 예산을 가지고 전국에서 수위를 다툰다는 점에선 충북지역 체육인들의 열정과 땀의 결실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체육 분야에 대해서만 예산지원을 요구할 수 없는 입장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적 향상을 위해 예산 확보를 위해 다각적으로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박 사무처장은 도체육회 조직확대 계획도 밝혔다. 현재 24명의 도체육회 인원을 29명으로 증원시키고 도체육회를 알려나갈 홍보 담당자들에 대해서도 인원을 충원할 방침이다. 박 사무처장은 "현재 도체육회의 인원이 너무 적어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며 "전국에서 가장 도세가 약한 제주도의 경우에도 체육회에 30명이 넘는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