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지역 청년 보증금 있는 월세·1인 가구 많았다

2021년 세종시 청년통계 결과 공표…청년정책 수립에 활용
월평균 가구 소득 200만~300만 원·저축하지 않음이 최다

  • 웹출고시간2021.12.27 14:19:26
  • 최종수정2021.12.27 17:19:34
[충북일보] 세종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34세 청년의 가구 형태는 1인 가구가 전체의 65%를 차지하고, 거주 형태는 보증금 있는 월세에 거주하는 비율이 33.9%로 가장 많았다.

또 월평균 가구 소득은 200만~300만 원이 33.7%로 가장 높았고, 지역 청년 중 구직신청자는 6천993명이었으며, 이들이 생각하는 취업 장애요인은 '정규직 일자리 부족'이 61.9%로 가장 높았다.

세종시는 지역 청년의 사회·경제적 삶의 수준을 파악해 통계 기반의 연구 기초자료 및 청년정책 수립에 활용하고자 2021년 청년통계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7일 공표했다.

청년통계는 통계작성 기관의 행정자료와 세종시 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한 저비용·고효율의 행정통계로, 지난 2017년 처음 개발돼 올해로 5번째 작성됐다.

2020년 12월 말 기준 만 19세 이상 34세 미만의 지역 청년은 전체의 18.8%에 달하는 6만6천807명으로 조사됐다. 성별은 남성이 3만3천459명, 여성이 3만3천348명이었다.

청년 가구원수는 1인 2만 312가구, 2인 5천226가구, 3인 3천561가구 순으로 1인 가구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 세종으로 전입한 청년의 수에서 전출한 인원을 뺀 순이동은 4천89명으로 파악됐다.

지역 청년의 주택점유형태는 보증금 있는 월세가 33.9%로 가장 많았고, 전세 33.7%, 자가 24.2% 순이었다. 연령별로 세분화해보면 19세부터 34세까지 나이가 들수록 전세 비율이 높아졌다.

지역 청년 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1천190명(1.8%), 장애인 등록 인구는 872명(1.3%)이었다. 공적연금 가입자는 국민연금 3만1천128명(46.6%), 공무원연금 8천797명(13.2%), 사학연금 328명(0.5%) 순이었다.

지역 청년 중 구직신청자는 6천993명(10.5%)이었고, 희망하는 월평균임금은 200만~250만 원이 2천330명, 250만 원 이상 2천066명, 150만~200만 원 1천553명 순이었다.

고용보험 가입자는 2만 198명(30.2%)이었고, 산업분류별로 제조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순이었다.

월평균 가구 소득은 200만~300만 원이 33.7%, 300만~400만 원이 21.0%, 400만~500만 원이 13.6% 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 소비지출액은 100만~200만이 34.0%로 가장 높았고, 월 평균 가구 저축률은 '저축하지 않음'이 23.1%로 가장 많았다.

지역 청년의 만성질환은 치주질환이 2만8천33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염병, 정신질환, 관절염, 간질환 순이었다. 주요 6대 암 진료인원은 유방암(30명), 위암(10명), 대장암(8명), 자궁암(7명), 간암(4명) 순이다.

지역 청년 가운데 자동차 소유자는 1만8천489명이고, 여가활동 형태는 TV시청이 32.8%, 게임·인터넷검색이 15.9%, 관광활동 10.3%, 스포츠 활동 9.9%, 취미 자기개발 8.7% 순이었다.

김성기 기획조정실장은 "올해 작성된 청년통계 결과는 실제 청년이 필요로 하는 정책을 만드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표를 보완해 매년 공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통계는 2020년 12월 31일 기준 세종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됐으며, 시청 누리집(www.sejong.go.kr)에서 볼 수 있다.

/ 김희란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