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최창중

전 단양교육장·소설가

알고 보니 우리가 일상에서 무의식중에 사용하는 말 가운데 불교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상당히 많더군요. 그만큼 불교가 우리의 생활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는 증표겠지요.

'찰나'나 '화두'처럼 평소 생활 속에서 아주 친근하게 즐겨 사용하는 단어부터 전문적이거나 심오한 단어까지 아주 다양한 불교용어들이 우리네 생활 속 깊은 곳에 두루 자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게 된 지경(地境)을 뜻하는 말로 '이판사판'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이 단어는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입니다. 원래는 불교에서 수행에 전념하는 이판승과 절 업무를 보는 사판승을 합쳐서 부르는 말인데, 불교가 번성했던 고려에서 억불숭유(抑佛崇儒)정책을 쓰던 조선으로 넘어오면서 신분이 천인(賤人)으로 전락하게 된 승려들의 처지를 빗댄 말에서 유래가 되었답니다.

한국 영화의 단골 소재인 '건달' 역시 대표적인 불교용어입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빈둥빈둥 노는 사람 또는 불량배를 이르는 말인데, 음악의 신 또는 거리의 악사나 배우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인 '간다르바'에서 왔다는군요.

학교나 관공서 등에서 많은 사람을 한 장소에 모아 의식이나 강연 등의 행사를 치를 때 소용되는 '강당'이라는 단어도 '인도에서 설법을 강의하던 장소'에서 유래했다니 의외입니다.

'한곳에 모여 뭉침, 또는 한곳에 모아 뭉침'의 뜻을 가진 결집(結集) 또한 불교에서 유래했더군요. 불교에 조예가 깊은 사람들이 모여 불전(佛典)에 대해 올바로 평가하거나 편찬하는 일 자체를 결집이라고 했답니다.

'기특(奇特)' 또한 불교용어더군요. '기특하다'의 뜻을 사전에서 찾으면 '말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이 신통하여 귀염성이 있다'로 표현되는데, 이 풀이에 따르면 말하는 이나 글 쓰는 이보다 나이가 어리거나 사회적으로 지위가 낮은 사람을 귀엽게 보고 칭찬할 때 쓰는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할아버지가 손주를 일컬어 할 수 있는 말인데, 이 낱말은 애초에 불가(佛家)에서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일' 즉 '중생제도(衆生濟渡)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을 지니고 무색계(無色界)의 천상에서 인간세계로 내려오신 인류구원의 사건'을 이르는 말이라는군요.

늘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이르는 '다반사(茶飯事)'를 항다반(恒茶飯) 또는 항다반사(恒茶飯事)라고도 하는데, 본래 불교용어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을 의미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불가에서 다반사는 극히 일반적이고도 당연한 일인데 불교 중에서도 선종(禪宗)에서 유래된 이 말은 참선 수행을 함에 있어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듯이 일상생활을 하는 것이 곧 선으로 연결됨을 상징하는 모양입니다.

여러 계층의 많은 사람을 일컫는 말인 '대중(大衆)' 또한 불교에서 유래한 말이더군요. 불교의 경전에는 '부처님께서 대중들에게 이르셨다'거나 '부처님께서 기원정사(祈園精舍)에 계실 때 대중을 위해 설법을 하셨다'는 말이 자주 나온답니다. 또 신도들을 일컬을 때 사부대중(四部大衆)이니 7부중(七部衆)이니 하는 말을 쓰는데, 사부대중은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 등 출가하였거나 출가하지 않은 남녀 신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고, 대중은 출가 여부에 관계없이 부처에게 귀의한 신도들을 가리키는 말이라는군요.

이밖에도 체면이라는 개념의 '면목(面目)', 떠들썩하고 시끄러운 모습이라는 뜻의 '야단법석(野檀法席)', 득도한 인물을 가리키는 말 '주인공(主人公)', 도지사의 '지사(知事)' 등도 불교에서 유래한 낱말이라고 하니 한글이 불교에 지불해야 할 지분이 상당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