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5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여름의 추억 - 시월의 소녀

함기석의 생각하는 시 14

  • 웹출고시간2016.07.21 18:00:23
  • 최종수정2016.07.21 18:00:23
전봉건은 전쟁과 실향이 낳은 비극을 환상적 상상력으로 초극하려한 시인이다. 6·25 참전체험을 바탕으로 그는 전쟁의 참혹함과 비인간적 부조리를 고발하고 평화에 대한 인간적 갈망과 고뇌를 드러냈다. 그의 시는 1950년대 우리 시사에서 독특하면서도 현대적인 색채를 띤다. 리리시즘과 모더니즘의 변증법적 긴장, 신선한 초현실적 이미지와 환상공간의 창출, 언어에 의한 독특한 음악의 세계를 구현했기 때문이다. 그는 현실의 상흔을 드러내면서도 현실을 초월하고 부정하는 초현실의 상상력을 펼치는데 이때 자주 사용하는 기법이 연상이다. 연상은 하나의 관념이나 대상에서 그것과 연계된 또 다른 관념이나 대상을 즉각적으로 떠올리는 인지 작용이다.
전봉건의 시는 연상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돌발적으로 비약하거나 비상(飛翔)한다. 새, 물고기, 비둘기 같은 동물들이 자주 동원되는데 흥미로운 것은 비상의 시공간 이동이 이중적이라는 점이다. 즉 비상은 전쟁이 초래한 죽음으로부터의 소생(蘇生), 삶에서 죽음으로의 이행 둘 다를 암시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비상의 운동성 이면에 죽음에 맞서는 생명의식, 존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초극의지, 사랑의 에로스가 내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사상은 시가 아니지만, 시는 사상이 될 수 있다"는 시인의 말을 음미해보면, 이미지의 연상적 운용을 통해 시인이 시를 사상으로 확장시키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사과 속에 숨은 소녀의 모습은 초현실적 풍경이다. 시인은 지금 가을의 탐스런 사과밭을 바라보고 있다. 가시 돋친 쇠줄 울타리를 타고 넘어온 나뭇가지에 주렁주렁 매달린 잘 익은 사과를 보면서 유년시절의 기억을 떠올린다. 한 입 깨물면 금방이라도 꽃다발이 되어 튀어나올 것만 같은 소녀, 사과의 씨방에 박혀 있을 생명의 씨앗을 떠올린다. 시인의 동화적 상상력이 낳은 환상인데 중요한 것은 환상의 발아 토대가 비극적 현실, 전쟁이 낳은 참혹한 공포라는 점이다. 이 시는 소녀들이 사과 속으로 숨은 시점을 언제로 잡느냐에 따라 시의 전개양상이 달라진다. 전시상황에서냐 평상시냐에 따라 시의 긴장감은 확연히 달라진다. 외관상 시인이 시월의 사과를 바라보면서 지금은 없는 소녀를 연상해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시인의 심리상황을 고려해보면 상황은 달라진다. 평온한 가을의 사과밭 풍경 뒤에 몸서리치는 전쟁의 시간들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인의 심리 속에서 과거와 현재는 중첩되면서 유년의 시간들이 사과밭으로 밀물처럼 밀려온다. 총탄이 날아다니는 위험한 마을에서 사과밭으로 도망치는 소녀가 그려진다. 이 도주의 풍경을 시인은 아이들의 숨바꼭질 놀이로 은폐하고 있지만 그것은 죽음으로부터의 필사적 탈주이기도 하다. 또한 시월의 잘 익은 사과가 드러내는 붉은색은 총탄에 희생된 소녀들의 주검의 빛깔과 중첩된다. 시인은 왜 가을의 아름다운 자연풍경에 비극적 시간들을 중첩시켜 초현실적 환상을 낳는 걸까. 전쟁의 후유증이 그만큼 크고 심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전봉건 시에 구현된 초현실성은 정신적 초월이 아니라 몸의 절박한 고백이자 고통의 역설적 발현인 셈이다.

전봉건은 평안남도 안주가 고향으로 월남 이후 실향과 이산의 아픔을 앓았으며, 6·25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자였다. 그는 위생병으로 참전했다가 중동부 전선에서 부상당하여 제대했다. 전쟁은 그에게 죽음과 파괴, 상처와 고통을 가져다주었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생명과 존재에 대한 근원적 시각을 열어주었고 시 언어의 심미적 칼날을 더욱 예리하게 벼리는 자극제가 되었다. 그는 시를 통해 개인적 아픔뿐만이 아니라 이산가족의 고통을 노래하고 겨레의 비원(悲願)을 명징하게 형상화했다. 전쟁의 비극적 기억들을 과거의 시점이 아닌 생생한 현재의 목소리로 재생했다는 점에서 그에게 전쟁은 망각된 과거가 아니라 괴롭게 살아 있는 현재진행형 사건이었다.

시월의 소녀 / 전봉건(全鳳健 1928~1988)

시월의

소녀는

사과 속에

숨어 있다.

순이는 달음박질쳐가서

숨었고

은하는 사뿐히 걸어가서 숨었다.

선화는 어물어물 새도 몰래 숨었고

춘하는 꽃병 곁에 잠자다가 숨었다.

저 무서운 총알이 오고 가던

저 사과나무 밭의 가시 돋친 쇠줄 울타리 타고 넘은

저 사과나무 가지에도

주렁주렁 매어달린 탐스런 사과.

그럼

사과나무 밭으로 가 볼까나.

제일 빛나게 익은 큰 것을 따야지

내 사랑하는 소녀가 숨은 사과.

한입 깨물면

내 소녀는 꽃다발 되어 뛰쳐나올 거다.

새까만 사과씨는 보석처럼 굴러서

흙 속에 숨을 거다.

시월의

소녀는

사과 속에

숨어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